청주지역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의 영업제한 관련 조례의 효력 상실에 반발, 청주지역 상인단체와 소비자단체 등이 불매운동에 나서는 등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자치단체와 지방의회 등은 대형마트 등을 대상으로 자진휴업을 권고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들의 참여와 관심은 그리 높지 않다. 오히려 대형마트 등의 의무휴업에 따른 이용 불편을 호소하는 등 의무휴업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대형마트 등의 지역 상권 침해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형마트 등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는 주민 정서도 그들이 지역에서 많은 돈을 벌어들이면서도 정작 지역사회를 위한 환원에는 인색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편리한 쇼핑 환경과 저렴한 가격 등을 이유로 많은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등을 찾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당장 현실적인 측면에서 전통시장보다는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게 편리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자치단체들은 전통시장을 비롯한 지역상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많은 투자와 지원을 해왔다.

그러나 전통시장의 환경 변화를 체감하는 소비자들이 많지 않다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영업제한 조례 운영이나 불매운동 등 상징성에 불과한 대응보다는 전통시장을 비롯한 지역상인들의 의식 전환과 자구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의 쇼핑환경이 좋고, 가격 경쟁력에서도 앞선다면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외면할 이유가 없다. 이는 자치단체의 투자와 지원에만 의존해선 개선할 수 없는 일이다. 전통시장을 비롯한 지역상권의 혁신적인 변화와 개선을 통해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쇼핑환경 구축과 가격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상인들의 노력과 협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물론 지금까지 지역 상인들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만한 성과를 낸 것도 아니다. 대부분 소비자들은 아직도 전통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위생이나 품목 구성, 쇼핑 환경 등에서 전통시장보다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배경은 깨끗해보이고, 다양한 품목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여기에 단순히 물품 구입을 넘어 문화·여가를 겸하는 쇼핑문화의 확산도 한 몫 하고 있다. 대형마트 등은 이같은 소비자들의 욕구와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매장 내에 문화시설을 마련하고, 계절이나 유행에 걸맞는 다양한 품목들을 그때그때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며 소비자들의 발길을 유혹하고 있다.

이같은 쇼핑 환경에서 전통시장이 뒤처지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는 것이다. 거대 자본을 앞세운 대형마트와 경쟁에서 소상인들이 대부분인 지역상권이 우위를 점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패배주의와 소극적 대응으로는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지역상권 몰락이라는 위기가 현실로 다가와도 막을 수 없다.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한 협력과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지 않는 한 대형마트의 침공에 맞설 수 없음을 직시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