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부실이 주원인…1년새 불량률 2%P 상승

''불량 대출자''가 최근 1년간 80만명 쏟아졌다. 소득이 적은 저신용층에서 급증해 10명 가운데 2명꼴이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는 가계대출자 1667만6000명의 불량률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4.78%라고 16일 밝혔다.

불량률은 최근 1년간 채무 불이행으로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3개월 넘게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 비율이다.

금융회사에 빚을 갚지 못하고 불량 대출자가 된 사람이 한 해에만 79만7000천명 생겼다는 뜻이다.

주로 저소득자가 분포한 신용도 하위등급(7~10등급)은 불량률이 약 18%다. 고소득자 위주의 상위등급(1~3등급) 불량률이 1%를 밑도는 것과 대조된다.

하위등급의 대출 불량률은 지난해 3월 말 약 16%에 견줘 1년 만에 2%포인트 상승했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부문장은 "소득 1분위(하위 20%)는 저축률이 줄곧 마이너스다"며 "빚이 쌓이고 쌓여 채무 불이행으로 폭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소득층을 대거 불량 대출자로 몰아넣은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다.

주택담보대출 불량률은 평균 2.49%다. 그러나 하위등급은 8등급(20.30%), 9등급(29.69%), 10등급(45.90%) 등으로 평균치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삼성경제연구소 김선빈 수석연구원은 "고용시장 경색과 자영업자 급증으로 저소득층이 여기저기서 빚을 냈다가 집값 하락의 `폭탄''을 맨 먼저 맞았다"고 지적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지난달 대출자 6만2000명을 조사한 결과 다중채무자(여러 금융회사에서 빚을 낸 대출자)의 30.6%는 자영업자로 파악됐다.

다중채무는 특히 5등급 이하 저신용층에 치명적이라고 자산관리공사는 설명했다.

소득이 받쳐주는 1~4등급은 `4중채무''까지 견딜 수 있지만, 5등급 이하는 여러 곳에서 대출할수록 신용도에 직접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량 대출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자 금융감독원은 담보인정비율(LTV) 상한선을 초과한 주택담보대출의 규모 등을 조사하고 있다.

LTV 상한선을 넘은 대출 잔액은 올해 3월 말 6조6000억원이다. 올해 들어 집값이 계속 내린 만큼 부실 위험이 있는 LTV 초과 대출 잔액은 더 늘어날 개연성이 있다.

금감원은 가계대출 부실이 경기 변동보다 6개월가량 후행(後行)한다고 분석했다. 경기가 하강곡선을 그리는 만큼 앞으로 부실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이다.

금감원 이기연 부원장보는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고 부동산 경기가 둔화한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 가계부실이 심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