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최초의 근대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을 비롯해 ‘협성회 회보‘대한매일신보 등 신문 5건과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 등 잡지 2건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1883년 10월 31일 창간된 ‘한성순보는 통리아문 박문국이 열흘에 한 번씩 세계정세와 외국의 문물과 제도를 소개하는 내용을 담아 이듬해인 1884년 10월 9일까지 발행했다.
문화재청은 이 신문을 근대 개화운동사와 언론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독립신문은 서재필(1864~1951년)이 1896년 4월 7일 창간해 격일로 만들다 1898년 7월1일 일간지로 전환했다.
1899년 12월 4일까지 발행된 이 신문은 가로 제호, 한글전용, 띄어쓰기 등을 도입하고 1면 머리에 정부와 집권 위정자를 비판하는 논설을 싣는 등 민간신문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밖에도 문화재청은 배재학당의 학생회인 협성회(協成會)가 발행한 ‘협성회 회보(1898년 1월1일~1898년 4월 2일)와 ‘매일신문(1898년 4월9일~1899년 4월 3일)영국 언론인 베델이 영문·한글판으로 발간한 ‘대한매일신보(1904년 7월 18일~1910년 8월 28일)상하이 임시정부의 활동을 국내외에 알린 ‘독립신문 상하이판(1919년 8월 21일~1926년 11월 30일)을 역시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또 대조선 일본인 유학생 친목회가 일본에서 창간한 계간지 ‘친목회 회보(1896년 2월~1898년 4월)와 근대문명과 과학지식을 소개한 격주간지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1896년 11월~1897년 8월)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에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공식 등록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등록된 근대문화유산은 건축·시설물 379건, 동산문화재 125건 등 모두 504건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