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에게 생계지원금을 지원하면서 빈곤과 질병에 허덕이고 있는 그들의 삶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현지를 방문, 그들의 참혹한 실상을 직접 목격한 뒤 그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해 국가보훈처가 7월부터 그들에게 생계지원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

2개월에 한 번씩 참전용사 1인당 5만원을 ‘영예금’ 형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금은 정부가 직접 외국인에게 연금을 줄 수 없는 현실을 고려, 우리은행의 기부금 형태로 지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5만원이 큰 돈이 아니지만, 세계 최빈곤국가 중에 하나인 에티오피아에서는 적지 않은 돈이다.

문제는 지원대상이 생존해 있는 참전용사들에게만 국한돼 있다는 점이다. 에티오피아가 한국전쟁에 파견한 참전용사는 모두 6037명. 그것도 황실근위대 소속 최정예 군인들만 파견했다.

이들 참전용사들은 강원 양구와 철원 등지에서 전투를 벌여 123명이 전사하고 536명이 부상을 당했으나 단 한 명의 포로도 없을 정도로 용맹하게 싸웠다. 특히 그들은 전쟁 휴전 이후에도 고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 남아 전쟁고아들을 보살피고 전후 복구작업에 참여하는 등 한국을 위해 많은 희생과 헌신을 아끼지 않았다.

그럼에도 생계지원금 지원 대상은 현재 한국전참전용사협회에 등록된 331명에 불과하다. 전사자를 비롯해 고령으로 사망한 참전용사 유가족들에게는 아무런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다. 에티오피아가 공산화된 이후 참전용사들은 물론 그 유가족들 모두 재산과 함께 사회적 예우마저 모두 박탈당해 경제적으로 열악한 삶을 살고 있다.

질병과 빈곤에 허덕이면서 겨우 끼니를 해결할 정도로 참혹한 생활을 하고 있다. 더욱이 생계지원금을 받고 있는 생존 참전용사들도 대부분 80세 전후의 고령이어서 이들이 모두 사망하고 나면 그 유가족들은 다시 빈곤한 삶으로 돌아가야 할 처지다.

따라서 지원 범위를 유가족에게까지 확대,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양일보가 1996년 처음으로 그들의 실상을 목격한 뒤 지속적인 지원사업을 펼쳐오는 내용도, 단기적인 생활지원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항구적인 경제 지원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임대사업장을 비롯해 직업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 건립 등을 통해 참전용사들은 물론 그 가족들까지도 교육과 경제활동을 통해 빈곤한 삶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비록 참전용사들이 모두 사망한다고 하더라도 유가족들은 지속적인 경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 정부도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에 대한 보은(報恩) 차원으로 그들에 대한 생계지원을 결정한 만큼 지속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수혜 대상을 유가족에게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길 촉구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