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형 일 극동대 교수요즘 안방극장은 ‘퓨전사극’ 전성시대이다. SBS 월화드라마 ‘신의’를 시작으로 수요일과 목요일엔 MBC ‘아랑사또전’이 방송되고, 주말저녁 방송되는 MBC ‘무신’은 종영을 앞두고 있지만 지난 주 KBS1 ‘대왕의 꿈’이 새로 시작되었다.

퓨전사극이 정확히 어떤 장르라고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퓨전(fusion)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것을 섞어서 새롭게 만든 것’을 지칭하는 용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짐작해볼 수 있다. 즉, 퓨전사극이란 역사적 사실을 극화하는 ‘사극’이란 장르에 사실이 아닌 작가의 상상력을 가미하거나 현대극의 요소들을 더함으로써 시청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새로운 드라마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퓨전사극이 유행하는 것은 극화할만한 역사적 소재의 고갈과 시청자의 기호 변화로 정통사극이 더 이상 설 자리가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이나 위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기존의 사극들은 사실의 ‘고증’이라는 틀에 얽매인다. 그러다보니 사료가 비교적 풍부한 시대를 다룰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도 극적인 요소가 강한 몇몇 인물을 반복적으로 극화함으로써 시청자들을 식상하게 만들었다.

툭하면 터져 나오는 역사 왜곡에 대한 논란도 정통사극의 설 자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드라마는 기본적으로 사실이 아닌 픽션(fiction)을 다루는 것으로, ‘실제로 있었던 일’이 아니라 ‘있을 법한 일’을 개연성 있게 그려냄으로서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어내는 것이다.

유달리 사극에 대해서만 사실성이라는 또 다른 잣대를 들이댈 이유가 없는 것이다.

퓨전사극은 어차피 불완전한 기록일 수밖에 없는 사료에 집착하기보다는 그간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새로운 인물과 소재를 발굴해내면서 돌파구를 마련했다. 조선시대 의사(허준)와 수라간 나인(대장금), 심지어 여형사(다모) 등 기록에는 있으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존재들이 사극을 통해 새롭게 부각되었다.

사료 자체가 별로 없는 고려(태조왕건, 무신)와 발해(대조영)는 물론 더 거슬러 올라가 고구려(광개토대왕), 백제(해신), 신라(선덕여왕)까지 사실적으로 재현되었다.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행간을 오로지 드라마적 상상력을 통해 실감나게 만들어낸 것이다.

올해는 ‘판타지’라는 요소가 더해지면서 퓨전사극은 다시 한 번 진화하고 있다. 가상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왕 이훤과 세자빈에서 무녀로 전락한 연우의 운명적 사랑을 그린 MBC ‘해를 품은 달’은 4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판타지사극 열풍을 일으킨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이었다. 타임슬립(시간여행)이란 판타지 요소를 통해 극의 배경을 현대로까지 확장한 사극들도 연이어 인기를 끌었다. SBS ‘옥탑방 왕세자’와 MBC ‘닥터진’, 그리고 케이블채널 tvN에서 방송한 ‘인현왕후의 남자’가 대표적이다. 현재 방송중인 SBS ‘신의’도 타임슬립을 통해 고려시대로 거슬러 온 여의사가 최영 장군과 공민왕, 노국공주 등 역사적 인물들을 만나면서 겪는 해프닝을 그리고 있다. MBC ‘아랑사또전’은 또 어떤가. 경남 밀양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처녀귀신 아랑 이야기를 모티프로 한 이 판타지사극은 아예 귀신이 주인공일 뿐 아니라 옥황상제와 염라대왕이 천상에서 바둑을 즐기고 저승사자가 원귀를 잡으러 다니는 장면이 수시로 등장한다.

이렇게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설정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이 퓨전사극에 몰입하는 것은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빚어낸 탄탄한 스토리텔링 덕분이다. 여기에 정교한 세트와 화려한 의상은 물론 실감나는 CG까지 곁들여지면서 완성도를 높인 퓨전사극은 국내 시청자들은 물론 해외에서까지 호평 받는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어쩌면 이 가운데 전세계를 감동시킬만한 한국판 ‘해리포터’와 ‘반지의 제왕’이 탄생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