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연, `연간 7천명 상봉 추진해야 제안

 

 

 

 

북한에 남겨둔 피붙이를 다시 만나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연간 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용화 선임연구원 등은 23일 이산가족 상봉,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보고서에서 "가족을 만나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산가족 상봉을 조속히 재개하고 규모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 등에 따르면 통일부에 등록된 이산가족 신청자는 총 12만8747명이다. 8월 말 현재 전체의 59.0%인 7만6003명만 살아있다.

생존 이산가족 신청자 가운데 70대 이상이 전체의 79.3%에 달한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정체상태에 접어들며 상봉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늘어나고 있다.

2007년 3613명에 달하던 이산가족 상봉자 수는 2008년 0명, 2009년 888명, 2010년 886명, 2011년 0명으로 크게 줄었다. 전체 이산가족에서 상봉 기회를 얻은 비율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19%대에서 진전이 없다.

이 연구원은 "연간 이산가족 사망자 3800명 중 2000명이 가족을 만나지 못했다"며 "12년 후면 전체 80%를 차지하는 현 70세 이상의 고령 이산가족은 대부분 사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50~60대의 이산가족도 앞으로 2024년 이후엔 전원 사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산가족이 생애 한번이라도 북에 떨어진 가족을 만나려면 앞으로 70세 이상의 생존자는 매년 6천400명 이상 상봉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50~60대 생존자 역시 매년 655명씩 피붙이를 만나야 한다고 추산했다.

이 연구원은 "이산가족 상봉은 사상과 이념을 초월한 인도주의적 사안"이라며 "현재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을 추석이나 설 명절 전후로 조속히 재개하고 상봉인원을 연간 7천명 이상으로 최대한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시적인 생사확인ㆍ서신교환을 제도화하고 화상 상봉과 같은 방법 역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