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제자유구역이 오랜 산고끝에 옥동자를 낳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식경제부가 2007년부터 충북도가 추진한 시군 개발계획안을 승인,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25일 심의 의결했다.

민선 4기부터 추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만 5년만에 결실을 맺은 셈이다.

연구 용역안을 5번 수정 보완 했고 지경부에 계획서를 공식 제출한것도 6번이나 된다. 세종시 출범과 함께 충북경제자유구역이 확정되면 내륙첨단산업벨트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지역은 청주·청원·충주·진천·증평·괴산·음성이 포함된다.

바이오벨리·에어로폴리스·솔라벨리·에코폴리스·뉴 아이티 벨리 등 5개 특성화 단지를 집중 육성할 계획을 거창하게 세운 것이다.

내년부터 2035년까지 개발 계획 구상을 마친 것이다. 밑 그림이 완성되면 국토이용계획은 물론 재정·투융자까지 일사분란하게 추진하면서 미진한 부문을 보완하는게 보편타당한 상식이다. 행정을 비롯 대학 연구소나 기업등도 이 같은 개발 계획안을 토대로 연구하고 살을 붙이게 되어 자양분을 쌓아가게 마련이다.

중앙정부가 광역자치단체의 개발 계획안을 승인하면 국비확보도 그 만큼 손쉬워 진다. 장기적 관점에서 충북의 중부권은 새 시대를 열 날개를 달았다는 평가이다.

그렇지만 충북의 남부 3군인 보은·옥천·영동군은 도정의 사각지대로 소외받고 있다. 굴뚝없는 고 부가가치산업으로 각광을 받던 속리산 법주사 관광도 단양이나 충주호에 밀려 쇠퇴하고 있다. 지방자치 이후 도백이 줄 곳 북부지역에서 배출되면서 남부지역은 들러리만 선 꼴이다. 도정을 감시하고 비판하는 도의원들의 역할론이 미미한데서 비롯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수가 없다.

특히 충북의 남부 3군은 대청댐 수변 구역으로 지정되어 공업화를 통한 개발 계획 구상은 엄두도 낼수가 없다. 타 지역보다 제한이 많기 때문에 업체들도 기피하는 지역이다. 그래서 충북도는 15년 전 남부 3군을 과학영농특화지구로 지정해 도비 10억원씩 특별 배정을 했었다. 이 사업비도 4억원대로 줄었다가 다시 회복되는 모양세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더욱이 충북도는 남부 3군의 여론을 의식, 보은 참단 바이오 산업단지를 구상했으나 이 마저 기초자치단체의 역량 부족으로 일궈내지 못했다. 관광이면 관광, 영농이면 영농, 공업화면 공업화를 통해 군민 소득증대를 꾀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린 뒤 그 그림에 알맞는 살을 붙여 나가면 양극화가 줄어들고 지역 특색에 알맞는 산업을 육성해 갈수 있는게 아니겠는가 한다. 도나 시군이 세운 발전 계획을 전 군민이 공유하고 함께 할때 효율성은 배가 될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수출 전진기지이다. 여기서 소외된 지역은 내수위주의 농산업이나 관광산업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남들이 잘한 것은 따라하는 어설픈 정책은 늘 뒷북만치고 경쟁력이 없다는 사실을 명심할 때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