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단일화 회동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5일 단일화 테이블에 앉기로 했지만 넘어야할 산이 만만치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측이 향후 단일화 협상의 내용과 절차, 경선 방식 등을 놓고 치열한 수싸움을 벌일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안 후보가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보여준 모습처럼 한 후보가 대승적으로 후보직을 양보하는 담판 가능성도 거론되지만 현재 양 캠프 진영이 처한 상황으로 볼 때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단 첫 회동은 예상보다 빨라 보인다. 지금까지는 10일 예정된 안 후보의 종합 정책발표 이후 단일화 회동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6일 전격 회동 합의가 이뤄졌다.

그러나 두 후보의 회동이 곧바로 협상 테이블 가동으로 이어질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이다. 단일화 협상개시 시기는 경선 방식의 선택지와 맞물려있어 후보 간 유불리 문제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의 경우 노무현 후보가 단일화 수용 의사를 피력한 이후 공식 협상이 시작되기까지 열흘이 걸렸다.

양측은 단일화 협상 방식을 놓고도 벌써부터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문 후보 측은 후보등록 전 단일화를 성사시키려면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정치쇄신, 정책연합, 경선룰 등 3개 협상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은 정치쇄신 분야의 합의를 먼저 도출하고 나머지 문제는 이후에 논의하자는 데 방점이 찍힌 것으로 보인다.

정치쇄신은 그동안 양 후보의 언급을 통해 충분히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지만 나머지 분야의 경우 안 후보가 종합 정책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여서 공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안 후보가 이날 전남대 강연에서 "각자 공약도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일화 방식과 형식을 따지면 진정성이 없다"며 가치와 철학 공유, 정치혁신을 우선 합의과제로 제시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다시 말해 안 후보 측은 정치쇄신 이외 정책연합이나 경선룰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을 10일 이후 시작하는 것으로 염두에 둔 반면 문 후보 측은 시간을 더 당기자는 입장이어서 협상 방식 자체가 마찰의 소지를 안고 있는 셈이다.

경선룰 협상 역시 험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어떤 형태의 경선을 도입하느냐는 후보의 유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현재 거론되는 단일화 방식은 작년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박영선' 단일화 때 사용된 여론조사, 배심원제, 국민경선이다.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를 도입하되 배심원제와 국민경선도 병행 실시하는 쪽을 선호하고 있다.

배심원제는 미리 선정한 배심원단이 TV토론을 본 뒤 지지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문 후보가 토론에 상대적 강점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국민경선은 일반 국민의 선거인단 신청을 받아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를 실시하는 것으로, 문 후보 측은 정당의 조직력에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안 후보 측은 각종 여론조사상 흐름에서 문 후보를 앞서고 있어 굳이 불확실성과 위험성이 있는 배심원제나 국민경선을 도입하는데 부정적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

또 배심원제나 국민경선을 실시하려면 최소 일주일 가량의 준비기간이 필요한 탓에 경선룰 합의가 지연되면 시행 불가능한 상황이 돼 경선룰 협상은 시간과의 싸움이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양측의 협상이 본격화될 경우 협상 창구로는 문 후보 측에서는 박영선 이인영 김부겸 공동선대위원장과 우원식 총무본부장 등이 거론된다.

안 후보 측에서는 박선숙 김성식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과, 금태섭 상황실장, 하승창 대외협력실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