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변수 야 단일화 향배 주목.

 

 

12월 대선이 한 달 앞으로 바짝 다가왔지만 판세는 물론이고 구도 자체도 여전히 안갯속이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시계제로의 형국 그 자체다.

새누리당이 일찌감치 박근혜 후보를 선출했지만 이번 대선의 최대 변수인 야권 후보단일화의 향배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18일 현재까지 여야 대진표조차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닷새째 파행을 거듭하던 단일화 협상이 이날 봉합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애초 합의대로 후보등록일(25∼26일) 이전 단일화를 이뤄낼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문 후보가 지도부 총사퇴 카드에 이어 '단일화 룰' 양보의사를 밝히고, 안 후보가 '단일화 성사 올인' 의지로 화답한 가운데 조만간 두 후보 간 양자회동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정치권 일각에서 단일화 협상이 또 다른 난관에 봉착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제기하고 있으나 결국은 두 후보가 단일화를 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단일화 이슈가 어느 방향으로 전개되든 대선판도는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단일화 성사시 지금의 팽팽한 3각구도가 일시에 여야 양자구도로 재편되면서 판세는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 결과 다자구도에서 박 후보가 40% 안팎의 지지율로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양자 가상대결에선 세 후보가 오차범위 내 박빙의 승부를 펼치는 상황이다.

지난 6일 야권의 단일화 합의 발표 이후 박 후보의 지지율이 주춤하면서 양자 가상대결에서 문ㆍ안 두 후보에 근소하게 밀리는 분위기다.

특히 문 후보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야권 단일화 경쟁에서도 문 후보가 안 후보를 앞서가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단일화와 더불어 판세를 뒤흔들 다음 변수로는 PK(부산ㆍ경남)와 호남의 표심이다.

PK는 전통적으로 새누리당 '텃밭'이지만 문ㆍ안 두 후보 모두 부산출신인데다 합산 지지율이 40%를 넘나들어 이 지역이 이번 대선의 최대 승부처로 떠오른 상태다. 지난 2002년 17대 대선 당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 득표율은 29%였다.

호남은 사실상 야권 단일후보 결정의 '키'를 쥐고 있는 곳이다. 호남민심이 단일화의 풍향계로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안 후보가 지난 9월 대선출마 선언 이후 줄곧 이 지역에서 우세를 유지해 왔으나 문 후보가 최근 맹추격에 나서면서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두 후보의 각축 양상 속에 리서치앤리서치의 지난 13∼15일 여론조사(1천명ㆍ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에선 문 후보(39.6%)가 오차범위 내에서 안 후보(36.3%)를 앞섰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선 군소후보가 캐스팅보트를 쥘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50만표 차이의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들 군소후보의 득표율이 대선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현재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와 진보정의당 심상정 후보, 무소속 후보인 강지원ㆍ박찬종ㆍ이건개 변호사 등이 득표경쟁을 벌이고 있다.

여야는 남은 한 달간 그야말로 퇴로 없는 대혈전을 벌일 전망이다. 정권을 재창출하려는 새누리당과 5년 만에 정권을 되찾으려는 야권의 불꽃튀는 진검승부가 예상된다.

더욱이 이번 대선은 단순한 여야 대결을 넘어 처음으로 '여성 대 남성'의 성(性) 대결구도로 짜인데다 기존 정당정치와 안철수식 새로운 정치형태의 격돌, 복지와 경제민주화의 이른바 미래담론을 둘러싼 대결 양상도 띠고 있어 역대 어느 대선보다 뜨거울 전망이다.

여야 대진표가 최종 확정되면 뒤늦게나마 공개 검증전에도 시동이 걸릴 전망이다.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 문제를 필두로 한 과거사ㆍ역사인식 논란과 함께 당초 원안보다 후퇴한 경제민주화 공약 논란, 문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발언 의혹 논란과 법무법인 부산의 부산저축은행 과다수임 논란, 안 후보는 안랩 신주인수권부사채(BW) 헐값 인수 의혹 논란 및 부인의 서울대 특혜 임용 논란 등이 집중적으로 검증무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