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조선어학회…’ 논문, 성균관대 박사학위 심사 통과

 ‘우리말 지킴이’로 유명한 방송인 정재환(51·사진) 씨가 한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는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해방 후 조선어학회·한글학회 활동 연구(1945~1957년)’. 정 씨가 쓴 이 논문은 지난주 성균관대 사학과 박사학위 심사를 통과했다.

2007년 3월 박사과정 진학 후 6년 만이다.

정 씨는 17일 “최근 2-3년 동안 어깨에 무거운 짐을 하나 올려놓은 것 같았는데 마지막 심사를 통과했다는 통보를 받고 어깨가 굉장히 가벼워졌다”고 말했다.

“그동안 학업 스트레스에 많이 시달렸습니다. 역사학에 대한 호기심만 갖고 시작했는데 이렇게 힘들 줄 몰랐습니다. 이걸 왜 시작했느냐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논문을 수정 보완해야 하지만 심적으로는 편안해졌습니다.”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82학번이었던 정 씨는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입대했으며 제대 후 방송활동 등으로 복학 시기를 놓치고 말았다.

방송인으로 승승장구했지만 공부에 대한 미련이 늘 마음 한쪽에 있었던 그는 2000년 39세의 나이에 성균관대 사학과에 입학, ‘늦깎이 대학생’이 됐다.

정 씨는 스무 살이나 어린 학생들과 경쟁해 3년 만에 인문학부를 조기 수석 졸업한 데 이어 성균관대 대학원에 진학해 4년 만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석사학위 논문 ‘이승만 정권 시기 한글 간소화 파동 연구’에서 1953년부터 2년 동안 이어진 한글간소화 파동을 분석했다.

석사학위에 이어 박사학위 논문 주제로 한글을 다룬 이유에 대해 그는 “요즘 ‘한글 시대’ ‘한글세대’라는 말을 쓰는데 사실 한글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은 해방 이후였고 한글세대가 등장한 것도 해방 후”라면서 “자연스럽게 한글 시대가 온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해방 후 혁명적인 일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한글전용법이 제정되고 공포되기까지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학회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면서 “우리말에 대한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싶다”면서 언어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방송 프로그램 진행을 맡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