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주 희 침례신학대 교수

 

엄마처럼 살진 않을 거야

딱 너같은 딸 하나만 낳아봐라!”

엄마와 딸의 끔찍하게 신비한 관계. “엄마와 딸 사이는 미워하고, 창피해하고, 자랑스러워하고 아픈 곳을 할퀴고 미안해하고, 울고불고 통곡도 마다않는다. 눈물이야말로 엄마와 딸 사이에 핏빛으로 흐르는 강물이다. 격렬하게 싸우고, 그리고 격렬하게 몸을 다 바쳐 사랑한다고 신달자의 엄마와 딸은 적고 있다. 엄마는 엄마의 딸이고, 딸이 자라 엄마가 되므로 이 세상에 한 번도 딸 아니었던 엄마는 없으리. 이 특별하게 평범하고, 끔찍하게 아름다운 관계, ‘갈등과 동질감을 거듭하는 미묘한엄마와 딸 이야기는 어쩌면 세상 모든 여자들의 이야기일 수 있을 것이다.

신달자의 엄마와 딸은 엄마에게 보내는 편지로 시작해서 딸에게 보내는 편지로 맺는다. 육녀 일남의 딸 많은 집 딸이며, 평생을 눈물과 슬픔 속에 살다가신 엄마의 이야기, 딸들을 길러낸 이야기까지. 결혼 구년만에 남편이 생일 점심상 앞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이십 사년 동안 병수발, 시어머니 병수발과 혼자 힘으로 세 딸을 길러내고 나중에 자신의 암 투병까지 고통스런 삶을 두 여성, 엄마와 딸 덕택에 절망적인 일상을 희망으로 바꾸며 살아낼 수 있었다고 기술한다. 엄마를 가진지 70, 엄마로 산지 45년의 기록이다.

딸로서 엄마를 생각하면 고향, 어린시절, , 가족, 눈물, 따뜻함, 포옹, 사랑, 무조건의 믿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애잔함과 마음 저림이 함께 오는 것도 엄마라는 단어인데, “왜 그렇게 못되게 굴었는지 모르겠어요. 단 한번도 고분고분 말하지 않았어요. 엄마가 안된다는 것은 정말 다 아닌 것인데 엄마 말을 귓등으로 들어 제 인생이 더 절뚝거렸다고 생각해요라고. “내가 엄마를 가진지 70. 엄마 이름 하나로 가슴 따뜻했던, 가장 외로울 때 엄마 한번 부르고 힘 내어 일어섰던, 나의 엄마, 지금도 그 이름으로 나는 아침에 허리를 펴고 일어선다.

세 딸들을 향해서는 사랑하는 내 딸들아. 그래, 한 여자의 생이 저물고 한마디만 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면, 나는 너희들을 향해 딸들아. 이렇게 말하고 눈을 감을 것 같아. 그런 날 내가 너희 이름을 각각 부르지 않더라도 이해해라. 이름을 부른다면 너희들 가족 이름을 다 불러야 하는데 아마도 힘이 없을지 몰라. 딸들아 라는 말 속에 미안해, 사랑해, 고마워 가 다 들어 있다는 것을 잊지 말기를부탁한다. 미안하고 고맙고 사랑한다는 고백은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을 함축하는지.

 

가끔은 너는 틀렸다고

깊은 상처를 서슴지 않으며

이 아름다운 인연에 금을 그었다

용서해라 나의 딸들아

살아보니 삶은 힘들고 외로웠다

고통의 터널을 지나가며

너희들의 이름을 불렀다

 

너희들의 이름을 부르는 그 순간

햇살이 나타나고 나는 아프지 않았다

살아 보니 이만한 사랑이 없었다

더러 외로워 더러 막막해서

한마디 원망을 하고 싶거든

나의 두 손에 넌지시 던져라

너희들 어둠은 내가 온전히 받아

저 별들에게 전해 주리라

 

자식 노릇도 부모 노릇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심란스러움을 새해 앳된 시간들 앞에서 점검이라도 열정적으로 하다보면 이래저래 가슴 벅찰려나. 엄마를 가진지 몇 년, 엄마로 산지는 몇 년이더라? 하나는 받는 삶, 하나는 주는 삶으로 단순하게 놓고 보아도 받는 것도 주는 것도 예의없었으므로 시답잖고 민망스럽기만 한데. 고마울수록 무례해온 덜떨어져온 소회.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