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인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2월 임시국회에서 심의가 본격화될 예정이어서 원안통과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청권은 핵심 현안 대부분이 신설 부처 소관이 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새 정부의 조직개편 중 단연 관심을 끄는 것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신설이다.

박근혜 당선인의 당초 공약 사항이기도 하지만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 업무를 망라하는 거대 부처 탄생이 현실화되면서 그만큼 기대도 실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옛 과학기술부 업무에 정보통신기술 분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업무를 맡게 된다.

정보통신기술 분야는 전담 차관을 두고 기존 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기술 진흥 업무, 지식경제부의 산업응용 연구개발, 정보통신산업 육성, 행정안전부의 정보보안 기능 등을 망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폐지로 연 11조원에 이르는 연구개발 예산도 관할하게 된다.국가성장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동시에 공룡 부처의 비효율성에 대한 우려가 나올 수 있을 정도의 대대적인 개편이다.

충청권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신설에 따른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교육과학기술부가 주도해 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미래창조과학부가 맡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큰 틀에서 과학기술부가 부활된 셈이어서 기대가 크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등으로 나뉘어 있던 과학기술 관련 기능이 일원화 된 점도 평가할 만한 대목이다.

그 만큼 앞으로 구체적인 업무 영역의 세밀한 조정 작업이 창조과학’, ‘창조경제의 실현을 담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길 바란다. 따라서 앞으로 후속 조정 작업의 타깃은 부처별 이기주의에 따른 예산권한, 업무 영역 다툼에서 비롯된 알력을 솎아내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국가 연구개발 배분 및 예산평가 권한, 대학의 연구개발 부분,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의 교육부분에 대한 교통정리가 그 첫 시험대다. 또 정보통신기술분야의 진흥과 규제 업무의 분리, 정보산업 육성정책, 정보보안 기능의 완벽한 이관 역시 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수위가 밝힌 창조과학’, ‘창조경제라는 기조를 유지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조직 논리에 함몰된 예산, 조직 챙기기, 불필요한 규제 권한은 창조에 역행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아울러 산··관을 아우를 수 있는 경륜과 비전을 겸비한 수장을 찾는 일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래창조과학부가 국가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선 통찰력뿐 아니라 이런 철학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새 정부에서 부활되는 해양수산부가 지난 2007년 발생한 태안유류피해 대책을 전담할 것으로 보여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태안유류피해의 경우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식품부 등으로 이원화 돼 있어 해양수산부의 부활 역시 사태 해결 및 후속대책 마련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