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결식 횟수가 가장 많은 연령층이 20대인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통계청이 빌표한 ‘2012 양곡연도 양곡소비량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청년들은 매달 평균 4끼를 굶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 후반(25~29)은 월 3.8끼를 굶어 모든 연령층 중 결식 횟수가 가장 많았고, 20대 초반(20~24)도 월 3.7끼를 먹지 못했다. 밥을 굶는 횟수가 월 1회에도 미치지 못하는 10대에 비하면 4배가 넘는 수치다.

밥을 굶는 횟수는 30대 초반(3.2)부터는 감소해 30대 후반(2.8), 40대 초반(1.8) 등 나이가 많아질수록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20대 후반 여성이 월 4.5회 굶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결식 횟수가 가장 많았다. 20대 초반 여성은 4.0회 식사를 하지 않았다. 남성은 20대 초반이 끼니를 많이 걸렀다.이들의 결식 회수는 월평균 3.3회이고 20대 후반에선 월 3.1회였다.

이처럼 20대의 결식 횟수가 높은 것은 이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대는 구직활동 중이거나 취업을 했더라도 계약직 등 불안정한 직종이 많은 데다 부모와 떨어져 독립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 소득규모가 적다.

그렇다고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복지혜택도 받지 못한다. 영유아나 노년층 등 복지 수혜 대상에서도 상대적으로 배제돼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빠듯한 수입으로 생활하기 위해 밥을 굶는 횟수가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부에선 20대들이 다이어트를 많이 하기 때문에 밥을 굶는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지만,

이는 실상을 외면한 피상적 관찰일 뿐이다. 정부와 일선 자치단체들은 영유아와 장애인, 고령층을 대상으로 각종 복지시책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반면 20대 청년층에 대한 복지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일자리 창출 시책으로 소득원을 마련해주고 있다고 하지만, 정부나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일자리 창출 시책은 대부분 임시직이나 한시적 일자리 등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20대 청년들이 노동을 통해 수입을 얻고, 이를 통해 자활 기반을 마련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사회적 인식도 20대에 대한 복지 시책 확대에 인색하다. 젊은이들은 일을 해서 먹고살면 될 것 아니냐는 편견 때문이다.

일을 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 실직률이 늘어나고, 일자리를 얻는다 해도 낮은 보수로 인해 열악한 생활을 이어가야 하는 현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없이는 밥굶는 20가 줄어들기는 요원하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청년층 2명이 노년층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자신의 끼니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마당에 다른 사람을 부양할 능력이 있겠는가.

실효성이 떨어지는 인기영합주의적 복지시책으로는 결국 모두가 골고루 복지혜택을 받는 복지국가가 아니라, 모두가 밥을 굶는 결식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