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지방교육청의 기강해이가 도를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교육청에서는 교육청 장학사들이 지난해 시행된 장학사 선발시험에서 조직적으로 시험문제를 응시 교사들에게 돈을 받고 유출했는가 하면 인천, 경남, 전북, 충북교육청은 교육감이 인사 전횡을 휘두른 것으로 감사원 감사결과 밝혀졌다.

충남교육청의 경우 시험을 공정하게 관리해야 할 교육청 장학사들이 미리 시험문제를 만들어 시험을 치를 교사들에게 건네고 출제위원들을 포섭해 이 문제들이 출제되도록 했다. 교사들은 1000만원에서 3000만원까지 돈을 냈다. 이렇게 해서 끌어모은 돈이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26000만원에 달한다. 충남교육청 소속 인사 담당 장학사, 감사 담당 장학사와 충남의 한 교육지원청 소속 장학사 등 3명의 장학사와 돈을 주고 문제를 산 교사 18, 출제위원 등 모두 25명이 사법처리 됐거나 될 예정이다.

교육계의 추악한 뒷거래가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감사원이 실시한 지방교육행정 운영실태감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교육청 교육감은 측근 등을 지방공무원 4급 승진 대상자로 내정하고 그에 맞춰 근무평정을 매기도록 하여 전 행정관리국장이 교육감이 내정한 자들의 점수는 높이고 경쟁자들의 점수는 낮췄다.

경남교육청 교육감은 측근 등을 승진시키기 위해 허위로 근무평정을 작성했고 심지어 이미 확정된 근무평정을 바꾸기까지 했다.

전북교육청은 인사관리기준을 개정하고 인사위 심의 없이 교육감 측근을 교육정책연구소장에 임용했고, 충북교육청은 유치원장 승진요건을 바꾸고 5순위자를 4순위자보다 먼저 원장으로 승진시켰다.

최근 들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지방교육청의 비리와 운영 미숙은 교육계 전반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다른 어느 곳보다 도덕성이 강조돼야 하는 교육계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다는 것은 국가의 장래를 어둡게 한다.

교육계에 대한 감사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교육계 자체 내에서도 기강확립에 나서야 한다. 우선 충남교육청 장학사 시험 문제유출 사건은 어느 정도 윗선까지 개입됐는지, 검은돈의 용도가 무엇인지 철저히 가려내야 한다.

일부 교육청의 인사비리에 대해서는 엄중한 수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청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교육계 내부적으로 자정노력과 교육관을 새롭게 정립하지 않는다면 교육계가 스스로 교육 불신을 자초한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교육계 스스로 교육에 대한 사명과 신념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길 촉구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