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후 대형비리 도맡아 국민적 지지 얻기도 - 최정예 인력 포진했지만 줄곧 '정치검찰' 비판 시달려

권력형 비리 수사를 주도해온 검찰 특수수사의 총본산인 동시에 정치검찰이란 오명의 진원지였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1일 대검 중수부를 연내 폐지키로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정지 편향 논란 속에 수도 없이 존폐 논란을 겪었던 중수부의 운명이 결국 문을 닫는 쪽으로 결정된 것이다.

중수부의 전신은 1949년 12월20일 태동한 중앙수사국이다. 1962년 8월20일 수사국으로 바뀌었다가 1973년 1월25일 특별수사부로 개편됐다. 이후 1981년 4월24일 중앙수사부로 개편돼 현재에 이르렀다.

중수부는 검찰총장의 하명 사건을 수사하는 직할부대이자 전국 지검·지청 특수부를 총괄 지휘하는 사정의 중추기관으로 현대사의 획을 그은 굵직한 사건 수사를 도맡아왔다.

이철희-장영자 부부 어음사기, 명성사건, 수서사건, 율곡비리, 노태우 비자금 사건, 한보사건, YS 차남 현철씨 비리, 불법 대선자금 수사, 현대차 비자금 사건 등 대형사건 수사는 으레 중수부의 몫이었다.

중수부는 거악 척결을 부르짖으며 검찰에 투신한 검사들에게 꿈의 실현장이었고 중수부장과 휘하 검사들은 이른바 검찰 내 에이스들로 채워져 왔다.

이종남 전 감사원장은 중수부장 시절 이철희-장영자 부부 어음사기 사건을 맡아 초창기 거악 척결자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했다. 이후 이 전 중수부장은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 감사원장으로 발탁됐다.

안강민 전 중수부장은 전두환·노태우 비자금 사건 수사를 지휘했으며 심재륜 전 중수부장은 YS 차남 현철씨를 구속했다.

한보그룹 수사를 맡은 최병국 전 중수부장은 정계로 진출해 3선 의원을 지냈고 안대희 전 대법관은 노무현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과 한나라당 대선자금 수사를 맡아 '국민검사'로 불리기도 했다.

지난해 중수부 존폐를 두고 한상대 검찰총장과 마찰은 빚은 최재경 전 중수부장(현 전주지검장)은 대검 중수1과장 때 현대차 그룹 비자금 사건을 파헤쳤다.

당시 중수부 수사팀은 검찰의 최정예 수사인력으로 성장해 현재 대검 중수부와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의 주요 보직에 포진해 있다.

그러나 중수부는 표적사정·편파수사 시비와 함께 '정치검찰', '권력의 시녀'라는 비판도 동시에 받았다.

이는 검찰 조직 내 중수부의 위치와 무관하지 않다.

대검의 다른 부서는 검찰 내 정책파트로 기획·지휘·조정 역할을 맡지만 중수부는 별도로 직접수사를 할 수 있게 만든 기구다.

검찰총장의 지시에 따라 일종의 맞춤형 수사를 하게 한 것인데 바로 그 점 때문에 언제든 정치검찰이라는 비난을 받을 여지가 많았다.

또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임명하는 상황에서 중수부는 늘 중립성과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퇴임 후 수사를 받던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은 중수부에 엄청난 타격을 줬고 가장 큰 정치적 오명을 남겼다.

또 지난해 발생한 사상 초유의 검란(檢亂) 사태 이면에는 검찰 내부에서도 중수부에 대해 곱지 않은 시각이 있다는 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