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시행키로 하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자유학기제는 중학생들이 한 학기 정도는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 체험을 하며 미래를 설계해 볼 기회를 갖게 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연구학교 37개교를 지정해 올해 2학기부터 운영하고 2014년과 2015년에는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실시하고 나서 2016년에 모든 학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적용 학기는 학교장 자율에 맡기기 때문에 학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교육부는 1학년 2학기나 2학년 1학기를 예로 제시했다.
자유학기에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같은 필기시험 부담이 대폭 줄어든다. 그 대신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토론·발표·탐방 중심의 수업을 하고, 진로 탐색 및 예체능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자유학기 중의 활동은 입시와 연계되지 않는다. 진로 탐색이나 예체능 활동을 열심히 했다고 해서 상급학교 진학에 혜택을 주는 일은 없다. 말 그대로 입시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살려보자는 취지다.
중학생의 경우 초등학교와는 다른 환경과 늘어난 공부 부담으로 진로나 인생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다.
필기시험 공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의 미래에 대해 탐색할 시간을 갖는다면 미래를 어떻게 가꾸어나가야 할지, 공부는 왜 해야 하는지 의미도 알 것이고 앞으로의 계획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자유학기제는 일단 바람직한 시도로 보인다.
그러나 자유학기제가 효과를 거두려면 본격 시행에 앞서 충분한 검토와 꼼꼼한 준비가 중요하다. 진로 탐색을 위한 제대로 된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는데, 교내 프로그램이나 진로 체험을 위한 외부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전국적으로 그 많은 중학생에게 실습이나 직업체험을 시키려면 상당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 학교가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기업이나 단체, 공공기관 등과 연대를 맺어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실 있는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못한 상태에서 섣불리 시작한다면 학생들은 이도 저도 아닌 상태로 한 학기를 허비할 수도 있는 일이다. 당국은 상세한 운영 프로그램과 매뉴얼을 연구해 일선 학교에 제공하고 교사들을 교육해야 한다.
자유학기로 학력이 떨어지고 학과공부를 시키지 않는 학교를 불신해 사교육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해결해야 한다. 학교에서 시험을 보지 않으면 불안한 학부모들은 사교육 시장으로 달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필기시험이 없다면 구체적으로 평가를 어떤 식으로 할 것인가. 특목고 등 고교입시에서 중학교 내신이 반영되는데, 학생들의 활동 내역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고 진로탐색 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공정성 시비가 나올 수 있다.
때문에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많은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학생들이 시행착오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