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이 직무와 관련해 우울증을 앓게 될 가능성이 일반인의 3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대구 수성대 사회복지과 백창환 교수는 대구사회복지행정연구회와 공동으로 대구지역 사회복지직 공무원 703명 중 4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19.4%가 심각한 우울증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우울 장애 평생유병률(심각한 우울)이 일반인의 6.7%보다 3배 가량 높은 것이었다.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유병률인 8.7%와 비교해서도 2배 이상 높은 수치이고 심각한 우울이 아니더라도 응답자의 26.7%는 중증도 우울, 19.4%는 경미한 우울을 경험했다고 한다.

또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은 소방공무원이나 경찰공무원보다 훨씬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조사에서 전체 조사대상의 51.9%가 완전 외상 후 스트레스군으로 분류돼 소방공무원(30.6%), 경찰공무원(33.3%)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직 공무원들의 이 같은 증상은 대부분 업무관련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응답자의 93%는 ‘업무 중 민원인의 사무실 소란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심한 욕설을 들은 적이 있다’는 92%였으며 ‘직무 중 동료의 죽음이나 부상 목격’ 82%, ‘민원인으로부터 협박’ 75% 등을 대부분 공무원이 경험했다.

복지직 공무원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증 조사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한 것으로 이번 조사로 최근 연이어 발생한 복지직 공무원들의 자살이 우연이 아니라는 결론이다.

복지담당공무원들의 이러한 처지가 된 것은 근본적으로 적절한 인력수급의 실패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전국 주민센터와 읍·면사무소 3474곳 중 사회복지직공무원이 1명만 배치된 곳이 1448곳으로 전체의 41.7%와 2명이 배치된 곳은 1390곳인 40%로 나타났다.

또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대부분 여성(74%)이고 육아휴직 충원실적도 67% 정도에 그쳐 필요한 인원에 비하면 실제 인력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 됐다.

이에 반해 다른 부처의 복지관련 업무 등 상급기관에서 하달되는 업무가 날로 늘어나고 있고 일반 민원업무까지 맡다보니 복지업무는 ‘3D’ 내지는 ‘기피업무’로 여겨지는 형편이다.

그동안 사회복지 통합관리망이 도입돼 업무가 자동화됐지만 이에 따른 부가적인 행정업무가 증가했고 저소득층을 발굴해 지원을 연계해 주거나 상담을 하는 것은 엄두도 어려운듯하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지직공무원들의 직무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해 과중할 경우 업무를 나누고 인력을 재배치해야 한다.

현재 새 정부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복지직공무원을 추가로 투입해 복지사각지대도 줄이고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기회에 복지직공무원들을 위한 특별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 민원을 담당하는 복지업무 특성상 직원들 형평에 맞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향상에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