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군을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유행처럼 사용해왔던 다면평가제가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사라졌다.
민선5기 정권교체 시부터 공무원 인사에 대한 다면 평가제가 없어진 것이다.
객관성·공정성이 떨어진다는 이유 때문이다.
음성군의 경우 승진대상 공무원의 능력과 업무 추진 실적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지난 2003년 4급 이하 전 직원을 대상으로 다면 평가제를 실시해 왔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다면평가제가 사라졌다.
다면평가제도는 사기업에서 도입, 사원의 평가를 한 사람의 상사가 자의적으로 행하는 것보다 상사, 동료, 하급자 등 여러 명이 다양한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는 의도를 반영한 선진기법이다.
공조직에서도 이런 선진인사제도를 인기몰이처럼 도입했다.
인사철만 되면 잡음과 억지 추측에 귀를 열어 놓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인사에는 늘 그런 소음, 잡음이 따르는 게 관례다.
인사는 자치단체장의 고유 권한이다.
인사권자의 횡포를 막아야 한다는 취지에서 다면 평가제를 운영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어떤 종류의 제도를 시행해도 마찬가지인 게 인사를 둘러 싼 아우성의 일면이다.
아무리 이상적인 제도를 내 놓아도 이런 비판, 거부, 논란은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게 인사문제다.
다면평가는 열심히 일하는 공무원들에게 한가닦 희망으로 접해 왔었다.
동료 직원간의 인기 몰이로 전략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단체장 한 사람에 의해 인사가 이뤄지는 부조리, 모순, 부당을 막기 위해서 도입한 다면평가제가 이제는 독선으로 다시 돌아 왔다.
슬그머니 사라진 다면평가제에 대해 일부에서는 자치단체장의 인사 독선을 막기 위해서도 부활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것과는 반대로 인기 몰이를 위해 직원 간 사투하는 모습은 공직 사회 인사를 낙후 시키는 행위라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공무원들도 부지기수다.
이처럼 구성원의 업적을 평가하기가 사기업 조직에 비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보수제도의 경직성이 높은 관료제 조직에서 평정결과를 보상체제와 직접적으로 연계시키기 힘들기에 새로운 평가제도의 효과성이 의심스러울 수도 있다.
사기업의 여러 가지 관리 제도는 공공조직에 도입이 가능하고 그야말로 바람직하다는 것은 공인된 연구결과다.
공무원조직의 상명하복이라는 특수한 풍토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 민주화를 위해서는 다면평가라는 인사기법이 바람직하다는 여론도 높다.
다면평가제도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단체장의 인사 횡포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 우선 순서다.
다면평가제는 최고관리자의 확고한 의지가 최우선 요건이다.
공무원조직의 명확한 목표체계의 설정을 통해 업적, 업무능력 측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평정결과를 보상체계와도 연계시켜야 한다.
근무성적 평정제도를 인사부문 외의 다른 관리수단과도 연계해서 운영해야 효율적일 수 있다.
진정 능력 있는 인물은 다수가 평가할수록 빛나는 법이다.
음성군 공무원들은 비민주적, 구시대적 인사제도에 손발이 묶이고 싶어 하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일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