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복지부 첫 건강 R&D 중장기 계획

정부가 고령화 대응 차원에서 건강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체계적으로 늘려 나간다.
8일 보건복지부가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 보고한 ‘국민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계획’에 따르면 ‘건강 R&D’ 분야는 질병극복기술·돌봄기술, 건강증진기술, 공공안전기술 등 크게 네 가지로 정의됐다.
예를 들어 질병극복기술은 신약·생물학제제·의료기기 등, 돌봄기술은 전동휠체어·재활로봇·인공망막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생활습관 개선 센서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등은 건강증진기술에 해당하고, 공공안전기술은 환경유해물질이나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기술을 말한다.
이처럼 좁은 의미의 질병·진단 기술 뿐 아니라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기술개발 활동을 '건강 R&D'로 규정하고 범부처 차원에서 중장기계획을 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건강 R&D 투자는 전체 정부 R&D에서 10.6%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 비중을 2017년까지 계속 늘리고, 더 장기적으로는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는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현재 미국(23%), EU(18.6%), 영국(17.6%) 등 선진국의 경우 이 분야 R&D 투자 비중이 20% 안팎에 이르고 있다.
또 현재 73% 정도인 세계 최고 대비 이 분야의 국내 기술 수준도 2017년까지 7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술 수준은 미국에 6.2년 정도 뒤처져 있고, 유전체·나노융합 등 신기술 분야에서는 격차가 더욱 큰 실정이다.
관련 산업별 세계 시장 점유율 목표(2017년)는 △제약산업 2.5%(현재 1.5%) △의료기기산업 2%(1.5%) △화장품산업 2%(1.5%) 등으로 제시됐다.
<연합뉴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