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 책임 떠넘기기 논란을 빚었던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재추진되고 있으나, 앞길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충북도의 민자유치 실패로 사실상 백지화 단계에까지 갔던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은 청주시와 청원군이 개발비용의 51%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재추진되고 있다.
나머지 49%는 민자유치를 통해 충당하며, 민자유치는 충북도가 담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충북도가 단독으로 추진해 온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난항에 부딪히자 재정적 부담을 청주시와 청원군에 떠넘겼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같은 논란 끝에 청주시와 청원군이 재정 부담을 수용함에 따라 이제 충북도의 민자유치 결실만 남아 있다.
그러나 충북도의 민자 유치가 녹록지는 않아 보인다.
충북도는 건설?투자 관련 기업들은 물론 금융권과도 접촉을 갖고 민자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는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충북도는 이에 따라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들까지 투자 유치 대상으로 삼아 전방위적으로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민자유치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 따라 투자를 희망하는 민간기업이 선뜻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충북도의 설명이다.
물론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지만, 민자 유치 어려움을 경기 탓만 하는 것은 소극적이고 안일한 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가 어려워도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면 경기 침체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기업들이 경기가 어려우면 신규 투자를 자제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와 반대로 새로운 사업을 통해 활로를 찾고, 수익원으로 삼기도 한다.
문제는 오송역세권이 기업들이 눈독을 들일만한 투자가치가 있느냐다.
충북도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추상적이고 막연한 투자 가치로는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행정적인 관점에서 이만한 투자 여건이 어디있겠냐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그건 충북도의 생각일 뿐이다.
관련 법과 제도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파격적인 인센티브와 투자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민간기업의 투자 의욕을 이끌어내고 투자 가치를 상향시킬 필요가 있다.
오송역세권 개발 사업에 난관이었던 재정적 문제는 청주시와 청원군의 출자로 어느 정도 해결된 만큼, 이제는 충북도의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민자 유치를 통해 사업을 성공시키는 길만 남았다.
충북도가 개발 부담 떠넘기기 논란과 사업 무산 책임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지금보다 더욱 파격적인 투자 방향 설정과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활동을 통해 오송역세권 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이제 오송역세권은 충북도의 몫만 남아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