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에 나서기 위해 현직에서 물러난 공직자가 모두 156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중앙공무원은 17명이고 지방 공무원은 13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강원도가 29명으로 가장 많다. 충청권에선 충남 12명, 대전 6명, 충북 5명 등이 그만뒀다. 충남은 경북(13명)에 이어 전국서 세 번째로 많았다. 세종시와 인천시에선 사퇴한 공무원이 없었다.
이는 안전행정부에 보고된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사퇴 숫자로 기초단체장 등에 출마하기 위해 공직을 사퇴한 교육직 공무원까지 합하면 더 많다.
교육계 수장 자리를 노리는 교육직 공무원들도 적지 않다. 광역의회 교육위원 선출에 ‘일몰제’가 적용되면서 교육 출신들의 선출직 진로가 막혔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0년 5회 지방선거 때 160명에 비해 중앙공무원은 7명 늘었고, 지방공무원은 11명 줄었다. 하지만 4년마다 반복돼 온 부작용과 폐해가 전혀 시정되지 않고 올해도 그대로 재연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선거일까지 남은 70여일 동안 중앙과 지방 가릴 것 없이 온 나라가 선거 분위기에 휩쓸리다 보면 배가 산으로 가는 현실에 맞닥뜨릴 수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지방행정의 공백이 제일 큰 걱정이다.
교육감과 기초자치단체장 등이 체급을 올려 광역단체장 등의 선거 출마를 위해 옷을 벗고 물러나면 한시적 대행체제가 가동된다. 하지만 얼마나 효율적인 행정이 때를 놓치지 않고 펼쳐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적어도 3개월 가량은 화급을 다투는 사안이 불거지지 않기만을 바라는 것 외에 무슨 뾰족한 대책이 없다.
주요직책에 있는 공직자들의 빈자리로 지자체와 지방교육청의 행정에 차질이 빚어지면 그 피해는 온전히 국민에게 돌아온다. 이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다.
물론 단체장이 사퇴하지 않는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다.
이기용 충북교육감과 성무용 천안시장, 김동성 단양군수 등 3선을 다 채웠거나 재선·3선을 포기한 단체장은 힘이 실리지 않아 그야말로 자리만 지키는 허수아비 신세로 전락할 게 뻔 하기 때문이다.
그 위상이 어떠한지는 ‘식물 단체장’이란 조어에서 단박에 알 수 있다. 유력 후보를 향한 공무원들의 노골적인 줄서기, 인사권을 앞세운 유력 후보의 공무원 줄 세우기도 고질적인 폐해로 꼽을 수 있다.
민선 자치단체장 선거가 부활한 지 올해로 20년째가 됐으나 지방선거를 둘러싼 이런 폐해가 근절되기는커녕 더 심해지거나 교묘해지고 있으니 개탄스러운 일이다.
행정공백과 금품수수, 줄 세우기 등의 일탈로 얼룩지고 일그러진 지방자치를 바로 세우는 건 정부의 책무다. 구멍이 숭숭 뚫린 지방행정을 그대로 방치해 두고서 나라의 미래를 논할 순 없는 일이다.
정부는 지방행정이 본분의 기능과 역할을 다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감독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선거에 즈음해 어김없이 고개를 드는 불·탈법, 일탈을 차단하는 것이 지방행정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