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지역에서 지난 1일 한반도 기상관측사상 역대 네 번째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의 규모는 5.1로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 해역에서 발생했지만, 진동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도 전해질 정도였다. 태안지역 지진은 1978년 한국에서 계기관측이 시작된 이후 1978년 충북 속리산 부근과 2004년 경북 울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5.2의 지진에 이은 규모다. 북한을 포함하면 평안북도 의주 일대에서 1980년 발생한 규모 5.3의 지진이 한반도에서 가장 강력했다. 진도 규모 5 이상이면 약한 건물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한다. 특히 먼 바다가 아니라 내륙에서 발생했으면 부실한 건물 같은 곳에는 피해가 있을 수도 있는 정도라고 하니 결코 가벼이 볼 지진은 아니다.
최근에 잇따라 발생하는 지진 빈도로 볼 때 한반도가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에는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3회나 발생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인천 백령도 해역과 충남 보령, 전북 군산 어청도 해역 등 서해에서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쯤 되면 지진 안전지대라가 아니라는 사실이 입증된 셈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국에서 규모 7 정도의 지진이 가능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2010년 30만명이 숨진 아이티 지진의 규모가 7.2였으니 대비가 돼 있지 않으면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지진이 한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예상인 것이다. 더욱이 수도권은 엄청난 인구가 밀집돼 있어서 같은 강도여도 피해가 클 수 있다.
우리는 지진에 얼마나 대비가 돼 있는 것일까. 건물의 내진보강 등 정부가 지진 대책을 계속 추진하고는 있지만 과거에 지어진 많은 건물은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 상태다.
국토교통부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내진 대상 건축물 122만2499동 가운데 실제 내진 설계를 적용한 건물은 30.2%인 36만8629동에 불과하다. 내진 대상 건축물 가운데 70%는 지진 재해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는 얘기다. 주택의 경우 내진설계를 적용한 곳은 공동주택은 42.2%였지만 단독주택은 25.2%에 그쳤다.
학교시설은 내진설계가 적용된 곳이 23.4% 뿐이어서 학생들의 안전이 지진에 거의 무방비 상태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수치는 사실 우리가 지진을 우리에게 닥칠 재앙으로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지진이 더는 남의 나라 불구경하듯 내버려둬서는 안 될 사안이라는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국내에슨 지질 구조를 연구할 수 있는 장비나 자료가 부족하다고 한다.
정부는 건축물의 내진 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더 시급하게 추진하고 지진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지진에 얼마나 준비가 돼있느냐에 따라 피해 정도가 엄청난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이미 다른 나라 사례에서 확연하게 보지 않았는가.
지금이라도 큰 지진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