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건강진단기술’ 특허 출원 증가… 자동차·정보통신업체

운전자의 이상증후를 스스로 판단, 자동차를 자동 제어하는 운전자 건강진단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9년까지 한 해 4건 안팎에 불과했던 운전자 건강진단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이 그 후 급격히 늘어 201117건에서 201226, 지난해에는 34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출원인은 현대자동차 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 현대모비스 5%, 삼성전자가 4% 순이었다.

() 출원인 순위에 자동차 업체 외에 ETRI나 삼성전자와 같은 정보통신 업체도 다수 포함돼 있다.

이는 운전자 건강진단기술도 다른 스마트기술과 마찬가지로 자동차와 정보통신이 융합하는 기술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운전자 건강진단기술은 운전자의 이상증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스마트화가 무인자동차(자율주행자동차)를 향해 진행되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카메라 영상이나 센서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과 이들을 조합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며 운행 중에도 운전자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로 정확한 건강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전자 건강진단을 위한 종래의 방법은 카메라 영상을 통해 눈의 떨림이나 시선을 분석하거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센서에 손이 닿을 때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카메라 영상으로 운전자 표정까지도 분석하는 기술이 출원되고 있다.

또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운전자의 호흡 및 심박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심장의 혈류 박출에 따른 운전자의 미세한 떨림을 측정하는 방법도 나왔다.

운전자가 전방 차량 미등의 깜빡임을 응시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비접촉식 생체신호 검출방법을 활용하는 기술도 출원되고 있다.

운전자의 건강진단 결과에 따라 실내의 조명이나 온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목적지까지 경로를 다르게 추천하고 나아가 운전자에게 심각한 이상증후가 나타나면 경고음을 내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갓길이나 안전지점에 정차시키는 기술도 출원되고 있다.

유 준 자동차융합심사과장은 자동차 업체는 사전에 자기 고유의 기술들을 개발, 이를 특허로 권리화해 스마트카 시대의 특허분쟁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