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김무성 대결에 친박 최경환-비박 김문수 가세하나 - 국회의장·원내대표까지 여권 '빅3' 향배 주목

새누리 당권구도, 양강서 다자로 변화 조짐
서청원·김무성 대결에 친박 최경환-비박 김문수 가세하나
국회의장·원내대표까지 여권 '3' 향배 주목

 

새누리당의 차기 당권구도가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7·14 전당대회가 친박 원로그룹인 서청원 의원과 비당권파인 김무성 의원의 맞대결 양상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었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이후 집권 여당에 대한 여론이 악화하면서 당심(黨心)에도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6일 현재 6.4 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에서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에 휩싸인 김황식 전 총리가 고전 중이고, 인천에서는 안전행정부 장관을 지낸 친박 핵심의 유정복 의원이 경선에서 힘겨운 승부를 벌이고 있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 친박(친 박근혜)계 후보를 제치고 비박()계인 권영진 전 의원이 시장후보를 거머쥐었다. 경남에서는 친박의 전폭적인 물밑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박완수 전 창원시장이 홍준표 지사에 무릎을 꿇었다.

수도권은 말할 것도 없고 영남에서도 친박계의 결집력에 한계를 드러내면서 비박계가 약진하는 양상이 펼쳐지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6"민심이 흉흉한 가운데 수도권에서 참패하고 텃밭인 영남에서도 야권 후보가 약진한다면 전당대회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면서 "이 경우 비주류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문수 경기지사의 '등판론'이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수도권에서 3선 의원을 지낸데다 민주화 운동으로 투옥 경력도 있어 기존 보수세력과는 다른 외연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전당대회 대신 재·보궐선거 출마도 검토 중이지만 선택지가 매우 좁은 것도 현실이다.

7.30 ·보선에서는 '관할지역 도지사는 선거일 120일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공직선거법 때문에 이미 경기도 출마는 불가능해졌다. 그 대안으로 서울에는 정몽준 의원이 시장 후보가 된다면 동작을에 한 군데 생길 뿐이고, 자신의 출생 지역인 대구·경북에는 재보선 지역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의 한 측근은 "지금은 도지사로서 세월호 사고 수습 대책회의를 숙의하고 업무 지휘를 하는 데 전념하고 있어 섣부르게 전대 출마를 말할 시점은 아니다"라고 언급을 삼갔다.

이렇게 친박 진영에 위기감이 감돌면서 비박에 대한 대항마로 현재 당권파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최경환 원내대표의 출마를 권유하는 의원들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3선으로 중량감은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지만, 1년간 원내대표직을 무난히 수행했고 소위 '자기 정치'를 하지 않고 박근혜 정부와 호흡을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거론되는 것이다.

최 원내대표 측도 전대 출마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 놓지는 않는 분위기다.

결국 기존 양강구도에 이들까지 가세한다면 4파전 양상으로 경선구도가 전환되는 것도 점쳐 볼 수 있다.

다만 친박 진영이 표 분산을 막으려 '교통정리'를 시도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당 대표를 역임했던 서 의원이 국회의장으로 선회하지 않겠느냐는 것이지만 서 의원 측은 이 같은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이밖에 이인제 김태환 홍문종 김영우 김태호 김을동 김희정 김상민 의원과 원외에서 김영선 전 대표까지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어 차기 당 지도부를 향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여기에 8일 원내대표, 이달 말 국회의장 선출까지 여권의 '3' 가운데 두 자리가 이달에 결정될 전망이다.

원내대표는 이미 충남지사 출신의 3선인 이완구 의원이 합의추대되는 형국이다.

이 의원은 13일께 당이 '6·4 지방선거대책위' 체제로 꾸려지면 충청권을 담당할 공동 선대위원장에, 또 선거 후에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당분간 당을 책임질 막중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회의장은 황우여 대표와 정의화 의원의 각축전이 예상된다.

황 대표가 2년 동안 당을 무난히 이끌고 그 과정에서 총선·대선도 승리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아 무난히 선출되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많았지만, 동료 의원들과 꾸준히 스킨십을 넓혀온 정 의원의 상승세가 만만치 않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올해부터는 여야가 합의에 실패해도 새해 예산안의 자동상정 제도가 시행되지만 본회의에 의사일정으로 지정하는 최종 열쇠는 국회의장의 몫이어서 집권 2년차인 청와대로서는 가장 신경 쓰는 주요 포스트 중 하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