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 총리후보 두번째 낙마…세월호 정국서 또하나 대형악재

박 대통령 국정운영 타격 불가피2기내각 급제동

'사상 초유' 총리후보 두번째 낙마세월호 정국서 또하나 대형악재
총리후보 인선 고민 깊어질듯6월 중순 이후까지 국정운영 공백우려
인사위원장 김기춘 교체론 거세질듯참모진 대거교체론 확산 전망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8일 전관예우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시달리다 엿새만에 낙마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지명한 김용준 총리 후보자에 이어 취임 13개월만에 국무총리 후보자 두 명을 잃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이반된 민심을 수습하고 '관피아'(관료+마피아)의 적폐를 해소하겠다고 내놓은 박 대통령의 회심의 카드가 속절없이 '폐기'됨에 따라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은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됐다.

특히 박 대통령은 6.4 지방선거와 국회 인사청문회후 새 총리의 제청을 받아 사실상 조각 수준의 대대적 개각을 통해 민심을 수습하고 집권 2년차 국정운영을 빠른 속도로 정상궤도에 올려놓으려는 구상이었다.

교육·사회·문화 부총리를 신설하는 등 총리-경제부총리-사회부총리의 트로이카 체제로 정부운영을 일신하겠다는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한 것도 이러한 구상의 연장선에서였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지난 22일 세월호 참사로 맞닥뜨린 정부출범 후 최대 위기 속에서 대선 당시 자신과 한때 갈등을 빚기도 했던 대법관 출신의 안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사실상 '충격요법' 수준의 인사로 평가됐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무능한 대처와 안일한 대응으로 불거진 공분과 불신을 해소하고 이반된 민심을 회복하기 위해 '한번 내친 사람은 재기용하지 않는다'는 기존의 인사스타일에까지 변화를 준 일종의 파격이었다.

국가의 압축성장 과정에서 쌓이고 세월호 참사로 불거진 적폐 혁신과 '관피아'(관료마피아)로 대변되는 공직사회 개혁 및 부패척결이라는 '국가개조'를 제대로 추진할 수 있는 인사로 강직한 성품과 청렴한 이미지의 소유자로 평가받는 안 후보자 만한 인사가 없다고 판단한 것.

안대희 카드를 통해 세월호 참사 정국에서 흩어진 민심을 모으고, 이어 대대적인 개각을 통해 국정운영을 정상화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그대로 드러난 인선이라는 평가가 나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적폐 해소와 관피아 척결의 적임자를 내세우며 구원등판시켰던 안 후보자가 법조계의 대표적 '적폐'인 전관예우의 '법피아'(법조+마피아) 오명에 시달리다 엿새만에 스스로 후보직을 내던짐으로써 박 대통령의 구상은 크게 헝클어지게 됐다.

이미 국무총리 후보자 두 명이 인사청문회도 치르기 전에 재산과 관련된 각종 의혹에 발목이 잡혀 물러나면서 후임 총리를 고르는 작업에 더욱더 많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신상이 털리는' 부담때문에 총리직을 고사하는 사례도 예상돼 후임총리 찾기는 지난한 작업이 될 공산이 크다.

이럴 경우, 6.4 지방선거 전에는 사실상 총리 후보 지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선거 이후 후임 총리 지명과 인사청문회 실시 그리고 후임 총리의 국무위원 인사제청권을 통한 각료 인선도 차례로 미뤄져 내달 중순 이후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안보사령탑인 국가안보실장과 국정원장 등 공석중인 안보라인의 인선 역시 더욱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안 후보자 지명 당시 PK(부산.경남) 편중 논란이 컸던 만큼 내각개편시 이러한 점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 보인다.

또 세월호 참사 대처에서 문제를 드러내 조직이 축소된 안전행정부, 조직이 축소되는 해양수산부, '라면 파동'의 교육과학부 등 개각대상으로 꼽혔던 부처수장들이 상당 기간 자리를 지킬 수밖에 없게 됐다.

사실상의 총리 부재상태에서 국정이 원활하게 돌아가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해 보인다.

한편 이번 사태는 정부 출범 후 총리 후보자 및 각종 장·차관 후보자들의 낙마 과정에서 문제점을 드러냈던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의 부실을 다시 한번 드러낸 것이라는 점에서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의 대거 물갈이론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기춘대원군' '왕실장' 등으로 불리며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최지근거리에서 보좌하며 야당의 거센 교체 요구를 받아온 김 실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김 실장이 인사검증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실을 관장하는 동시에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