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한국은 공공 의료가 취약하다. 9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의료도 공공적 성격이 약하고 상업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일본도 신자유주의가 확산되면서 의료의 공공성이 점차 후퇴하고 있지만 공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은 한국보다 훨씬 낫다. 주민과 함께, 주민을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하는 민간 의료기관이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런 의료기관들의 연대모임인 전일본민주의료기관연합회(민의련) 50년 역사의 기록이다.

민의련은 1953년 민주진료소들의 연대모임으로 발족해 진료소 건립 운동, 가난한 이들을 위한 복지 지원, 민주화운동, 인권운동, 평화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고베 지진이나 동일본 대지진 때도 큰 기여를 했다.

2010년 기준으로 일본 전역에 걸쳐 147개 병원과 525개 진료소, 322개의 방문간호 스테이션이 민의련에 소속돼 있고, 약 7만 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민의련 소속 병원은 상급병실료를 받지 않는다. 1인실이나 2인실이 있기는 하지만 전염병 환자 격리 같은 의학적 판단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환자가 원한다고 쓸 수 없다는 얘기다. 경제적 형편에 따라 환자를 차별하지 않는 원칙에서다.

건강미디어협동조합. 박찬호 옮김. 617쪽. 3만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