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비중은 79%→61%로 하락…GNI 전체총액 60년만에 3만배로

(동양일보) 한국의 국민총소득(GNI) 규모가 60년 만에 3만배로 증가하고, 1인당 GNI는 400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GNI에서 가계의 비중이 1975년 79%에서 지난해 61%로 줄어드는 동안 기업 비중은 9%에서 26%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1953∼1999년)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1953년 483억원에서 작년 1441조원으로, 60년새 2만9833배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에 1인당 GNI는 67달러에서 394배로 늘어난 2만6205달러가 됐다. 연평균 10.5%씩 증가한 것이다.

국민계정이란 기업·가계·정부 등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주체의 경제 활동과 일정 시점에서 경제 전체의 자산·부채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정한 회계기준이다. 이 기준은 1953년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바뀌었다.

한은의 이번 국민계정 개편에 따라 처음으로 같은 기준(2008 SNA)을 이용해 1953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1953년은 한국에서 경제 관련 통계가 처음 나온 해다.

GNI 기준으로 한국 경제의 '덩치'를 구성하는 요소를 살펴보면, 가계소득 비중은 꾸준히 떨어진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속히 높아졌다.

1975년 가계부문은 GNI의 79.2%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61.2%로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에 기업들이 산출한 총부가가치로 따진 기업부문 비중은 9.3%에서 25.7%로 증가했다. 정부부문 비중은 9.3%에서 13.1%로 소폭 확대됐다.

이와 함께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소비(민간소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53년 86.5%에서 지난해 51.0%로 낮아졌다.

설비·건설·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포함된 총고정자본형성의 GDP 대비 비중은 1950년대 7%대에서 1990년대 30% 후반대로 빠르게 높아졌다. 그만큼 투자가 활발히 일어났다는 뜻이다.

그러나 설비·건설투자가 둔화하면서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이 지난해에는 29.7%로 축소됐다.

현재 수출은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지만 60년 전만 해도 GNI 대비 3%(총액 기준)에도 못 미쳤다.

수출은 1953년에 GN 대비 2.9%였으나 1966년에 처음으로 10%대를 넘어섰다. 수출 비중이 10%를 돌파한 지 8년 만인 1973년(25.6%) 20%대를, 7년 만인 1980년(32.1%)에는 30%대를 넘어섰다.

이후 1998년 42.0%, 2008년 52.2% 등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수출 비중은 크게 높아졌다. 2012년 58.3%로 정점을 찍은 이 비중은 작년엔 55.9%였다.

산업구조에서는 1953년 총부가가치 기준으로 GDP의 48.2%를 차지하던 농림어업 비중이 지난해 2.3%까지 줄었다.

제조업 비중은 7.8%에서 4배로 커진 31.1%가 됐고, 서비스업 비중도 40.3%에서 59.1%로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0.4%→2.3%), 건설업(2.2%→5.0%) 비중도 늘었다.

총저축률은 1953년 10.9%에서 꾸준히 늘어 1988년 41.7%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낮아지기 시작해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총투자율 또한 1991년(41.4%) 정점 이후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총투자율은 28.8%였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4%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작년 수치(4.5%)가 60년 전(4.6%)과 비슷해졌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1953년 27.3%에서 1996년 62.4%까지 높아졌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4년 연속 상승, 지난해 61.4%가 됐다.

이는 근로자들의 임금이 높아졌다기보다는 가계와 기업의 영업이익이 낮아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