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비 등 비용 1천만원 훌쩍…무리한 등록 추진시 부작용 초래"

(동양일보) "캠핑장 등록을 하려다 보니 측량도 해야 하고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등록을 포기해야 할지, 캠핑장을 하면서 비용을 올려야 할지 난감합니다"

강원도 원주의 한 캠핑장을 운영하는 업주 A씨는 최근 큰 고민에 빠졌다.

최근 강화도 글램핑장 화재사고 여파로 5월로 미뤄뒀던 캠핑장업 등록을 앞당겨 하려다 보니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음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일단 정확한 측량을 해야 하는 등 생각지도 못한 돈이 들어가다 보니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것이다.

A씨는 1천㎡ 규모의 캠핑장 면적에 대한 측량 등 갖가지 비용이 얼추 추산해도 1천300여만원이나 소요됐다고 전했다. 이 캠핑장의 지난해 총 매출액은 850만원선.

이처럼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벌어지자 A씨처럼 캠핑장 문을 닫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고민을 하는 업주들이 늘기 시작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또 캠핑장 업주들은 이번 화재로 엉뚱한 불똥이 튀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

경기도 화성의 한 캠핑장 업주 B씨는 "펜션에서 무리한 전기 시설을 넣은 변종 숙박업소에서 화재를 일으켰는데 왜 엉뚱한 캠핑장을 잡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쏟아지는 대책들이 현실을 무시한 사후약방문식이라는 지적도 있다.

물론 캠핑장 등록을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등록시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고, 오는 5월까지인 등록 유예기간도 무리하게 앞당기면 가뜩이나 부족한 캠핑장이 부족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전수조사를 하더라도 강화도 화재와 같은 사고를 일으킨 전기 패널 등 화재 요인들을 통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캠핑 관련자들의 분석이다. 왜냐하면 대부분 캠핑장은 구획된 맨땅에 개인들이 자신의 장비를 갖고 가서 설치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B씨는 "일반 캠핑장의 경우 땅을 구입한 뒤 구획을 하고 샤워시설을 마련했을 뿐 위해 시설도 없다"며 "전수조사를 하거나 지금 당장 등록을 안하면 캠핑장을 폐쇄하겠다는 식의 대책은 안그래도 부족한 캠핑장을 줄이는 효과밖에 거둘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3일 서울시도 떠들썩하게 시내 캠핑장에 대해 일제 조사를 벌였지만 큰 안전 유해요소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캠핑을 즐기는 오모(43.인천시 서구 연희동) 씨는 "안전을 위한 규제가 강화되면 좋겠지만 큰 위해요소가 없는 일반 야영장에 대한 강력한 규제는 무리"라면서 "가뜩이나 캠핑장 예약이 하늘의 별따기인데 정책을 시행하는 사람들이 꼭 캠핑을 한번씩 다녀보며 서민 여가시설의 현황을 체험해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가 운영하는 한강변의 노을 캠핑장은 주말마다 캠핑장 150면에 대한 예약이 시작 5분만에 완료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