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연구소들, 줄줄이 내릴 듯…3%대도 위태

(동양일보) 올해 경제성장률이 작년(3.3%)보다는 나을 것으로 봤던 경제 연구기관들이 성장률 전망치를 끌어내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연초만 해도 올해 성장률이 3.4∼3.6%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지만 '대세'는 3% 초반대로 기울었다.

소비 부진에 따른 내수 둔화로 올 1분기(1∼3월)부터 예상보다 더딘 경기 회복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2%대 전망도 속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4%에서 3.1%로 내렸다.

이대로라면 한국 경제성장률은 5년째 경기 회복의 심리적 기준선인 4%대에 못 미치게 된다.'

●5∼6월 성장률 하향 조정 잇따를 듯 = 한국은행은 9일 기준금리 동결 이후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4%에서 3.1%로 0.3%포인트 낮췄다.

한은의 전망치 하향 조정은 이미 예고된 일이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3월 말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성장률이 예상보다 상당폭 낮을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 부진이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성장률 하향 조정 배경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성장률(전기비 0.3%)이 예상보다 부진한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이 속보치(0.4%)보다 떨어지면서 올해 경제의 출발선 자체가 뒤로 밀렸다. 이에 따라 성장률 전망도 낮출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함에 따라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민간 경제연구소들도 5∼6월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줄줄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

KDI는 5월 새 전망을 발표하기 전까지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조정 여부와 방향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작년 12월 KDI가 올해 성장률을 3.5%로 전망하면서 적용한 전제 조건이 틀어진 상황이다.

KDI가 전제 조건 가운데 하나로 삼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8%에서 3.5%로 떨어졌다.

KDI는 "세계경제가 예상대로 성장세를 회복하고 대내적으로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이 원활히 실행될 경우"에 3% 중반대 성장이 가능하다고 봤었다.

●속속 나오는 2%대 성장률 전망 = 한국금융연구원도 5월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7%에서 3% 초반대로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금융연은 상황이 악화하면 올해 성장률이 2012년(2.3%)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2%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임진 금융연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부동산 경기 회복의 영향을 받은 건설 부문을 제외하고는 소비·수출지표가 모두 좋지 않아 우려가 크다"며 "굉장히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6월 수정 전망 발표를 앞두고 경기 흐름을 점검하고 있는 현대경제연구원도 3.6%였던 기존 전망치를 더 내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산업활동동향, 수출 등 1분기 경제지표가 좋지 않아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게 될 것"이라며 "경기가 회복세에서 이탈한 것은 아니지만 회복 속도가 무척 미약하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외국계 금융기관들의 눈높이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노무라증권이 3.0%에서 2.5%로 전망치를 낮춘 데 이어 BNP파리바도 최근 2.7%를 제시하는 등 2%대 전망도 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환율 전쟁으로 수출이 부진한데다 소비 심리도 살아나지 않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월 산업활동동향 등 경제지표로 추정해 보면, 1분기 성장률이 0.6∼0.7%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며 "2분기부터 분기 성장률이 1%를 넘어야 연간 성장률이 간신히 3.0%를 웃돌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률 전망이 최근 상향 조정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만 떨어지는 경향이 짙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이 내놓은 각국 경제 전망 평균치를 보면,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7.0%를 유지했고 일본·말레이시아·대만도 최근 2∼3개월간 변동이 없었다.

인도(+1.6%포인트), 베트남(+0.1%포인트), 필리핀(+0.05%포인트)은 성장률 전망치가 높아졌다.'

●정부도 전망치 하향 조정하나 = 한은이 올해 한국 경제를 보는 눈높이를 낮췄고, 민간 연구소들의 전망치 하향도 예고된 만큼 관심은 이제 정부의 행보에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일단 공식적으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

오히려 하반기 경기 회복의 불씨를 살려 3.8%의 성장률을 어떻게든 지켜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경기 흐름을 보는 시각도 긍정적으로 변했다.

먼저 움직인 것은 청와대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지난 1일 월례 경제브리핑에서 "부동산시장과 주식시장 등 자산시장 활력이 실물부문으로 확산하면서 경기 회복세가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도 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일시적 요인으로 주춤했던 산업 생산이 반등하는 등 완만하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경기 흐름을 진단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면서도 "저유가에 따른 소득 여건 개선을 고려하면 완만하더라도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2분기에는 경기가 회복세를 나타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심 기준금리 인하와 확장적 재정정책, 저유가에 따른 반사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대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정부도 오는 6∼7월께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환율 영향 등으로 유럽·일본에 대한 수출이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중국의 성장세 둔화로 대(對) 중국 수출 전망도 밝지 않다"며 "무엇보다도 수출이 경기를 이끌어나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성장률 3.8% 달성은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