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쿠바 정상의 역사적 회동이 반세기 만에 성사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지난 11일 파나마에서 열린 미주기구(OAS)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별 회동을 가졌다.
두 나라 정상이 나란히 앉아 회담한 것은 라울 카스트로 의장의 형인 피델 카스트로 전 의장이 쿠바혁명을 일으키기 3년 전인 1956년 이후 무려 59년 만이라고 한다.
양국이 국교를 단절한 1961년 이후로도 54년 만이다. 두 정상은 미주기구 정상회의 개막식에서도 만나 악수를 하는 장면이 포착돼 양자 회동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이번 만남은 쿠바의 미주기구 정상회의 참석을 거부해온 미국이 초청장을 발송하면서 어느 정도 예고된 이벤트라고 할 수 있다.
사전 협의를 거친 정상 회담은 아니지만 적대관계 청산 의지를 두 정상이 만나 재다짐했다는 상징성이 결코 가볍지 않아 보인다.
실제로도 두 정상은 회동의 의미를 놓고 이구동성으로 "역사적인 일"이라고 자평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냉전이 끝난 지 오래"라며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일어난 싸움에 관심이 없다"고까지 했다.
카스트로 의장은 "쿠바의 인권과 언론 자유에 관해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쿠바 지도자가 인권과 언론자유를 논의할 의사를 밝힌 것도 매우 이례적이고 긍정적이다. 두 정상은 양국 간에 여전히 많은 차이가 가로놓여 있음을 인정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회동 후 기자회견에서 쿠바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문제와 관련해 "결정되지 않았다"고 한 것도 전제조건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뜻한다.
대사관 상호 재개설이나 미국의 대(對) 쿠바 무역금수 해제 문제도 별 진전이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두 정상이 직접 만나 관계정상화 의지를 재확인한 만큼 협상을 큰 틀에서 풀 추진력을 얻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소련 해체후 고립무원에 빠진 쿠바가 외부와 정상관계를 복원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다.
이미 러시아와 중국, 유럽연합(EU) 정상들이 줄지어 쿠바를 방문하고 관계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미국과 쿠바 정상의 역사적 회동은 분단 70년을 맞는 우리에게 부러움을 안겨주는 한편으로 지향점도 던져준다고 할 수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쿠바와 국교정상화 선언을 하면서 반세기 이상 유지해온 대 쿠바 봉쇄정책이 실패했음을 시인했다.
이번 미주기구 정상회의에서는 "미국은 과거의 역사에 갇혀 있지 않겠다"고 했다.
이른바 '악의 축' 국가들에 대한 오바마 정부의 인식은 과거 공화당 정부와 큰 대조를 보인다.
그런 점에서 북한 지도부도 협상으로 고립을 풀겠다는 근본적인 태도 변화를 보여주기 바란다.
핵무기로 협상 레버리지를 높이겠다는 전략은 고립을 심화시키고 북한 주민에게 고통만 가중시킬 뿐이다. 지구상에서 냉전의 마지막 잔재를 청산하는 길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