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5명의 꽃다운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도 벌써 1년이 됐다.
그들의 죽음과 유족의 슬픔을 온 국민이 애도했고,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사회에 만연했던 안전 불감증과 부조리의 병폐가 얼마나 큰 지 자성하는 계기도 됐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정치적 또는 이념 논리가 개입되면서 오히려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증폭시키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그 후유증은 여전하다.
이제는 슬픔과 고통에서 벗어나고, 갈등과 분열을 치유해야 한다.
세월호를 둘러싼 오랜 갈등과 분열은 오히려 세월호 참사가 사회에 던진 화두를 희석시켜 본질의 왜곡을 초래할 뿐이다.
진상 규명을 명분으로 한 일부 좌파세력의 반정부 투쟁 종용도 끝내야 한다.
확인되지도 않은 가설과 추론을 앞세워 마치 엄청난 음모가 숨어 있는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갈등과 분열만 심화시킬 뿐, 되레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요구되는 대한민국의 변화와 개혁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세월호 유족의 슬픔과 고통은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지만, 국민 정서와 부합되지 않는 유족의 행태도 지양돼야 한다.
유형은 다르다 하지만, 사회적 안전불감증과 팽배한 부조리에 기인해 소중한 자녀들을 잃은 수많은 부모들의 심경도 세월호 유족과 다를 바 없으나, 그들은 사회를 향해 울분조차 토하지 못한 데다 사회로부터 위로와 보상을 받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유족의 슬픔과 분노, 사회적 비판 분위기에 편승해 이를 정치적으로나 이념적으로 악용하려는 세력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진상 조사와 향후 대응을 위해 세월호 특별법이 제정된 만큼, 이제는 법률적 테두리 안에서 논의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마땅하다.
세월호 선체 인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정부의 추산대로라면 세월호 사고 수습과 피해 지원에 5500억원이 넘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일부에서는 엄청난 비용이 들더라도 유족의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또한 국민의 세금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유족의 동의하에 국민성금을 인양 비용으로 사용하는 등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유족에 대한 보상이나 배상 문제도 국민적 공감대 내에서 이뤄지는 것이 타당하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지급한 뒤 유병언 일가에 구상권을 청구해 피해액을 받아내겠다는 입장이나, 사실상 환수가 가능한 금액은 전체 지급액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민성금이 아닌 세금으로 배상하는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는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고, 국민 모두에게 충격과 슬픔을 준 사건임은 분명하다.
그래서 세월호 참사의 교훈은 사회 곳곳에 만연해 있는 부정부패와 부조리, 안전불감증 등을 모두 걷어내는 일이어야 한다.
또 다른 분열과 갈등으로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과 화해를 통해 변화된 ‘안전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는 일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