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서 감염 환자 17명…새로운 방역 최전선 부상

(동양일보) 삼성서울병원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감염된 환자가 7일 모두 17명으로 늘어났다. 환자수는 14명이나 무더기로 늘어 64명이 됐으며 사망자도 1명 추가돼 5명으로 증가했다.

환자수가 늘며 삼성서울병원은 보건당국의 방역 '전쟁'의 2차 전장(戰場)이 됐다. 대형병원인 이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수가 늘어나면서 한동안 주춤하던 메르스 격리 관찰자는 500명 가까이 늘어 환자 발생 후 처음으로 2000명을 돌파했다.

보건당국은 첫 메르스 환자 발생 18일만에 환자가 발생하거나 거쳐간 병원을 공개했으며 의심환자의 확진 판정 권한을 부여하는 등 지방자치단체와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메르스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서울시 강남구와 서초구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평택 등 경기도 7개 지역 초·중·고등학교는 8일부터 일괄 휴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하루새 환자 14명 증가 세계 2위 메르스 감염국 '불명예' 눈앞 = 메르스 환자는 이날 새벽 기준으로 만 하루 사이 14명이나 무더기로 늘어 모두 64명이 됐다.

추가된 환자 중에는 삼성서울병원에서 14번(35) 환자를 통해 감염된 사람이 10명이나 된다. 지금까지 같은 경로로 감염된 사람은 17명이나 된다. 사망자 역시 1명 늘어나 모두 5명이 됐다.

55번~64번 환자는 모두 지난달 27~29일 14번째 환자와 같은 시기에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있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의료진, 환자, 환자의 보호자다.

이 중 64번 환자는 5일 이미 사망했으나 이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메르스로 인한 국내 사망자 수는 5명으로 늘었다. 치사율은 7.8%(64명 중 5명 사망)를 기록했다. 이 환자처럼 사망한 뒤 확진판정을 받은 경우는 25번(여.57)과 36번(82) 환자를 포함해 모두 3명이다.

평택성모병원에 있던 51번(여·72), 52번(여·54)·53번(51) 환자도 감염 환자 명단에 새로 추가됐다. 이로써 평택성모병원에서 비롯된 메르스 감염자는 총 36명이 됐다.

이와 함께 54번(여·63) 환자는 대청병원에서 16번 환자와 동일 병실을 사용하다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돼 이날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환자를 포함해 현재까지 3차 감염자는 34명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3차 감염자가 대거 늘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아직은 병원 밖을 벋어난 지역 감염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3차 감염 진원지 부상 =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메르스 환자가 17명으로 늘어나며 이 병원이 메르스의 확산을 막는 보건당국의 새로운 전장(戰場)이 되고 있다.

이 병원에서 나온 환자들은 모두 이 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14번(35) 환자로부터 메르스 바이러스가 옮은 사람들이다. 이 환자는 지난달 27~29일 격리 조치 없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머물렀다.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환자는 적어도 한동안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메르스 최장 잠복기는 14일로 14번 환자가 응급실을 떠난 지난달 29일을 기점으로 14일이 지난 시점인 12일까지 아직 닷새나 남았다.

보건당국은 이 환자와 삼성서울병원에서 밀접접촉한 115명을 격리 관찰 중이다. 이 중 30여명은 시설 격리 중이며 85명은 자가 격리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보다 더 넓은 기준을 적용해 14번 환자와 접촉한 890여명을 자체적으로 격리 중이라고 밝혔다.

대형 병원인 삼성서울병원에서 환자수가 늘어나면서 메르스로 보건당국이 자택 혹은 시설에 격리한 사람의 수는 처음으로 2000명을 넘어섰다.

이날 오전 5시를 기준으로 격리 관찰자는 전날 발표 때보다 495명 증가해 2361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관찰자 중 자가 격리자 역시 전날보다 472명이나 증가한 2천142명으로, 처음 2천명을 넘어섰다. 기관 격리자는 23명 증가한 219명이었다.

●환자 거친 병원 실명 공개 = 정부가 논란 끝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거나 거쳐간 병원의 실명을 공개했다.

정부는 "국민안전 확보 차원에서 공개한다"며 "실제 감염경로는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병원에 대한 강력한 통제가 불가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병원 명단 공개로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에 대한 추적·관리가 용이해졌지만 한편으로는 해당 병원에서 치료 중인 중증 환자가 치료를 꺼려하게 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선의의 치료가 병원 경영에 타격을 준 만큼 정부의 피해 보상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