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고비…비감염자 적극 협조해야 확산 방지

격리대상자도 감염 확산 예방 위해 불편 감수해야

(동양일보 김동진기자)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확산이 다소 수그러들면서 재확산 차단을 위해선 비감염자들의 메르스 대응수칙 준수와 격리대상자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된다.
15일 보건당국과 의료계 등에 따르면 메르스 감염 경로는 대부분 확진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건당국의 철저한 감시 등으로 메르스 감염 사태는 진정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확진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사람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해 발생하는 2차 감염이나 3차 감염도 확진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면 예방이 가능한 셈이다.
보건당국은 이번 주까지 메르스 감염 사례가 증가하지 않으면 안정적인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메르스 감염 재확산 차단을 위해선 무엇보다 메르스 대응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개인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당국이 제시한 메르스 대응 수칙은 △비누나 알코올 손세정제를 사용해 자주 손 씻기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말기 △기침, 콧물, 호흡곤란, 발열 등 감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 착용 △사람 많이 붐비는 장소는 되도록 방문 자제 △메르스 확진 환자와 밀접 접촉했거나 최근 중동 지역 방문한 경우, 2주 이내에 37.5도 이상 발열 증상, 기침, 호흡곤란 증상 나타나면 즉시 병원 진료 받기 △의심 증상 발생시 거주지 보건소 등에 연락하기 등이다.
이같은 기본적인 예방 수칙만 철저히 지켜도 메르스 감염 우려를 벗어날 수 있다.
나 하나 쯤은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이 자칫 본인의 메르스 감염은 물론 감염 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게 보건당국의 권고다.
특히 메르스 환자와 접촉 등으로 격리대상자로 지정된 사람의 경우 다소 생활에 불편이 있더라도 감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점을 인식,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잠복기 관찰 대상인 격리 대상자들이 확진 여부를 판정받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방문하거나 보건당국의 지침을 무시한 채 독자적인 행동을 할 경우 진정 국면에 접어든 메르스가 재확산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5일 현재 격리대상자로 지정됐다가 이상 증상이 없어 격리해제된 사람은 전국적으로 3122명에 달한다.
이들 대부분 보건당국의 격리 지침을 잘 따랐기 때문이다.
확진 판정을 받아 병원에서 격리치료를 통해 완치된 뒤 퇴원한 사람도 14명으로 늘어났다.
이들 모두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투여, 대증요법 등을 통한 치료를 받아 왔고,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호전돼 두 차례 메르스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나 완치 판정을 받았다.
이는 예방 수칙이나 격리 지침 등을 준수하거나, 확진 판정 이후에도 보건당국과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치료할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메르스에 대한 감염 공포가 큰 것은 새로운 바이러스라는 점 때문이다.
메르스처럼 공포에 떨게 했던 신종 바이러스 중 신종플루의 경우 국내에서 75만명이 감염돼 250여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1% 정도에 불과하다. 
2003년 음성에서 최초 발생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조류독감도 홍콩에서 유행한 고병원성은 사람에게 감염되나 국내에서 발생한 약병원성은 인간 감염이 안돼 조류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없었다.
2002년 중국에서 발생해 전 세계를 불안 속에 빠뜨렸던 사스 역시 국내에선 확진 환자가 없었다.
최근 아프리카에 창궐했던 에볼라도 치사율이 50~80%에 달하지만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 경로만 차단하면 얼마든지 예방이 가능, 국내에서 발병된 사례는 없다.
이들 모두 신종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사람들의 대응 정보가 부족한 데다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 미흡 등으로 불안감이 컸을 뿐, 예방 수칙만 철저히 지키면 별다른 우려가 없었던 질병들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