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가슴 통증 환자 5명 중 1명은 '변이형 협심증'"

(동양일보) 가슴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5명 중 1명은 혈관의 경련으로 가슴에 통증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변이형 협심증'을 앓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변이형 협심증은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협심증'과 함께 심장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 백상홍(서울성모병원)·신동일(인천성모병원) 교수팀은 2010~2013년 국내 11개 대학병원 심혈관센터를 찾은 가슴 통증 환자 2129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약물검사를 한 결과 21.3%(454명)가 변이형 협심증 양성으로 진단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 자매지 최근호에 실렸다.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반이 쌓이면서 혈류를 막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오래 쓴 수도관처럼 동맥경화로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혈액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협심증의 주요 증세는 흉통이다. 흉통은 왼팔 쪽으로 퍼지기도 하고 목을 당기는 증세를 동반하기도 한다.

반면 변이형 협심증은 스트레스나 흡연과 같은 자극으로 혈관에 갑자기 경련이 생겨 수축하며, 자극이 없어지면 혈관이 정상으로 회복한다. 마치 밤에 잠을 자다 근육에 쥐가 나서 꼼짝 못하다 근육이 풀리면서 증상이 없어지는 현상과 같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에 심각한 동맥경화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고 표준치료법도 아직 없다.

문제는 혈관이 좁아졌다가 회복하는 상태가 지속하면 급성 심근경색증, 부정맥 등의 합병증이 생기고, 급성 심장사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연구팀이 변이형 협심증 환자를 평균 2년간 추적 관찰할 결과를 보면 이 기간에 0.9%(4명)가 심장질환으로 사망했으며, 1.6%(7명)는 심각한 부정맥이 발생했다. 1.9%(8명)는 급성 심근경색증과 같은 급성관동맥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

이에 비해 검사 당시 변이형 협심증 음성 판정을 받았던 환자 중에는 심장사가 없었다.

연구팀은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좋지 않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흡연, 지속적인 가슴 통증, 여러 혈관의 경련 등을 꼽았다.

백상홍 교수는 "변이형 협심증은 안정 때에는 통증이 없다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일시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만, 신경성이나 위장관계 질환으로 오진 되기 쉬운 만큼 의심 증상이 생기면 재빨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흡연은 이 질환의 고 위험요인으로 조사된 만큼 변이형 협심증 환자들에게 금연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