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금늉(O)/그뮹(O)]

  일반적으로 경제라 하면, 대부분 금융을 떠올린다. ‘금융’은 금전을 융통하는 일. 특히 이자를 붙여서 자금을 대차하는 일과 그 수급 관계를 이르는 것으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그만큼 우리 가까이에 신문이나 뉴스에서 빠지지 않고 다루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때 기자나 아나운서들은 금융을 [금늉] 또는 [그뮹]과 같이 둘 모두를 발음하기도 한다. 표준 발음법 제29항은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 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ㄴ’을 첨가하여 발음하기도 하지만 [그뮹]과 같이 ‘ㄴ’을 첨가 없이 발음하기도 한다. 이것은 개인적인 발음 습관에 따른 것이나 그 어느 쪽을 일반화하거나 일률적으로 규칙화할 수 없기 때문에 두 가지 발음을 모두 인정한 것이다.

 따라서 금융은 [금늉] 또는 [그뮹] 처럼 발음해야 한다.

 

그의 말하는 본새(X)/뽄새(O)가 화가 난 말투였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취하는 동작이나 또한 버릇의 됨됨이를 보고 ‘그의 본새는 어떠하다.’ 또는 ‘저 본새 좀 봐라!’ 등과 같이 표현한다. 이와 같이 본새는 ‘어떤 물건의 본디의 생김새’ 또는 ‘어떠한 동작이나 버릇의 됨됨이’를 뜻하는 말로 명사이다.
 
  예를 들면 ‘제각기 용기의 본새랄지~’, ‘그의 말하는 본새가 화가 난 말투였다’, ‘사람들 일하는 본새가 오늘 해 지기 전에는 일을 다 못할 것 같다.’등과 같이 쓰인다.
 
  그러나 흔히 본새를 뽄-새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틀린 표현이다. 사람들은 발음을 할 때 첫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 그것이 점차 예사소리에서 된소리로 바뀐 것으로 인한 잘못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예문은 “그의 말하는 ‘뽄새’가 화가 난 말투였다.’가 아니고 “그의 말하는 ‘본새’가 화가 난 말투였다.” 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