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영수(취재부 부국장)

▲ 지영수(취재부 부국장)

‘바다’는 충북사람들에게 동경의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 바다가 없는 곳은 충북이 유일하다. 그래서 ‘바닷가’, ‘바다냄새’가 더욱 그립다.
내륙도인 충북에 해양자원을 갖게 되는 수산물 복합단지가 들어선다. 충북도와 괴산군은 지난 5일 괴산읍 대덕리에서 수산식품산업단지 조성 기공식을 갖고 첫 삽을 떴다.
내년까지 230억원을 투입해 1만1468㎡ 규모로 짓는 수산식품산업단지는 바다와 내수면 구분 없이 수산물과 관련된 모든 연구·개발과 가공업체, 식당들이 들어선다.
인근에 들어설 내수면양식단지는 내년까지 70억원을 들여 2만3000㎡ 규모로 조성된다. ‘민물고기의 제왕’으로 불리는 쏘가리는 물론 송어와 메기 등 고부가가치 어종 양식이 본격화된다.
여기에서 생산된 어종은 수산식품산업단지에서 가공·판매 된다.
두 단지가 조성되면 중국을 비롯한 세계인의 밥상에 우리 수산물을 올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필요충분조건’을 채워주기엔 부족하다. 충북도민들이 바다를 보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가장 가까운 대천해수욕장도 족히 두 시간 이상은 달려야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충북도가 국립 ‘청주해양과학관’ 건립을 추진하고 나서 도민들의 갈증을 풀어주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충북도는 청주시 주중동 밀레니엄타운 내에 1006억원(국비 90%, 지방비 10%)을 들여 1만5404㎡ 터에 1만4752㎡ 규모로 지을 계획이다.
이곳엔 해저지형탐사관, 해양과학체험관, 첨단해양과학기술관, 해양과학역사관, 해양생태·해양안전체험관, 미래해양연구실 등 전시·체험시설 등이 설치된다.
도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반영시키고자 기획재정부에 이를 신청한 상태다.
지금까지 해양과학관 등 국립 해양시설은 주로 바닷가에 건립됐다. 부산 해양박물관, 충남 서천해양생물자원관 등이 그렇고 경북 울진도 2017년 해양과학교육관을 착공해 2020년 개관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들 시설은 동·서·남쪽의 해안에 치우쳐 내륙 국민들이 방문하기는 시간과 거리 제약으로 불편하다.
따라서 전국 어디에서나 2시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는 충북에도 해양 전시시설이 건립돼야 한다.
이 시설이 건립되면 바다를 접하지 않은 내륙지역 주민에게 해양과학·문화의 소중함을 확산시키는 것은 물론 국토의 중앙에 설립으로 지역균형발전 촉진을 도모하게 된다.
전국에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국토의 중심에서 해양안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국민 누구나 쉽게 해양안전 교육에 참여도 가능하다.
최근 ‘바다 없는 마을’ 충북의 학생들에게 해양체험 기회 제공 등을 위한 국립 해양과학관 건립 요구의 목소리가 높다.
충북학생들은 해양을 체험할 기회가 적어 내재된 해양 분야에서의 재능이 발현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해양과학관 설립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31조에는 모든 국민이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은 바다가 없다는 이유로 해양에 대한 체험 기회가 적어 해양과학 재능이 발현되지 못하면 이는 또 다른 차별이다.
해양관련 과학·문화 시설의 내륙권 설치로 균형 있는 교육·문화권이 보장돼야 한다.
청주는 주변에 세종시와 대전시, 천안시 등 신수도권의 중추배후도시로 국가교통망의 X축 중심에 위치, 전국에서 2시간 이내 접근이 가능해 경제성도 높다.
해양과학기술원의 타당성 연구 용역 결과에서도 비용대비 편익률(B/C)이 1.06으로 나왔다. 편익률이 최소 0.8이상이 돼야 사업이 추진되는 점을 고려하면 높은 수치다.
따라서 정부는 전 국민에게 균형 있는 해양교육·체험 기회를 제공토록 청주에 국립 해양과학관을 건립토록 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