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래수 편집국 부장(내포지역 담당)

 

국내 최대 양돈단지 홍성이 구제역에 뚫려 비상이 걸렸다. 연일 맹위를 떨치는 구제역이 충남도청이 위치한 방역당국의 심장까지 번진 것이다. 일부에서는 긴급 백신 접종에도 불구, 토착화가 진행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홍성까지 구제역이 확산함에 따라 충남에서는 지난달 17일 공주·천안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이날까지 4개 시·군, 15개 농가로 구제역이 확산됐다.

구제역은 초동 대처 이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다. 확산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다.

2010년 한 해에만 세 차례나 구제역이 발생해 35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생매장됐다. 살처분이다. 피해액만 무려 3조원에 이르렀다. 웅덩이를 파고 소, 돼지를 쏟아붓듯 밀어 넣고 흙을 덮는 광경은 아직도 생생하다.

이미 한 달 사이 공주와 천안에서 확진 판정된 돼지 1만2000여마리도 전부 살처분됐다.

논산지역 구제역 발생 농장의 돼지 3200마리도 살처분을 피할 수 없다. 가슴 아픈 일이지만 확산을 최소화하려면 어쩔 수 없다.

바이러스 질병인 구제역은 전염성이 무척 강하다. 때문에 어디로 얼마나 확산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구제역은 언제나 예상하는 피해 범위를 넘어서 창궐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제 구제역은 인재로 봐야한다. 엄청난 피해와 대책에도 불구하고 잊을만하면 재발하니 하는 말이다. 바이러스 질병을 근절하는 건 불가능하다. 감기처럼 백신을 맞아도 계속 발생한다. 다만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구제역 대책은 효과가 의심스러운 지경이다.

구제역이 충남권 전역으로 급속도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는 지금이 바로 방역의 골든타임과 같다. 최대 축산단지인 홍성, 그리고 천안, 공주, 논산 등 충남권 모든 시·군이 구제역 위험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총력 저지하는 일만 남았다.

충남도내 9개 시·군에서 소와 돼지 46만여 마리가 살처분당한 2011년의 악몽이 재연되지 않기 바란다. 충남도는 홍성 구제역 방어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 그래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