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뒤편(O)/뒷편(X)

거리를 지나다 보면 다양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용도로 걸어 놓은 현수막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수막에서 특정한 장소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OO건물 뒤편’과 표현해 놓은 것을 자주 발견하는데 이때 ‘뒷편’은 ‘뒤편’으로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한글 맞춤법 제30항은 사이시옷에 관한 규정으로 순 우리말이 합쳐져 형성된 합성어에서 뒤 말이 된소리로 되거나 ‘ㄴ’이 덧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뒤 말이 거센소리나 된소리일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붙여 적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뒤풀이’, ‘위층’, ‘뒤뜰’ 등과 같이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은 형태로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뒤로 있는 쪽’을 가리키는 말은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은 형태인 ‘뒤편’으로 써야 하며, 평소 언어생활에서 헷갈리기 쉬운 사이시옷 표기는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치수를 재어/재 보다(O)

온라인 쇼핑이 보편화된 요즘에는 옷이나 신발 등뿐만 아니라 각종 생필품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옷이나 신발을 구입할 때는 직접 입어보거나 신어보고 살 수 없기 때문에 치수가 맞지 않아 교환이나 반품을 해야 할 때가 종종 있다.

이처럼 자신의 몸에 맞는 옷이나 신발을 사기 위해 물건의 길이나 크기, 무게 정도 등을 헤아려 보는 것을 ‘~의 치수를 재어 보다’ 또는 ‘~의 치수를 재 보다’와 같이 표현한다.

한글 맞춤법 제34항 ‘붙임 1’은 ‘ㅐ, ㅔ’ 뒤에 ‘-어, -었’이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였다. 따라서 ‘치수를 재어 보다’와 ‘치수를 재 보다’에서 ‘ㅐ’ 뒤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보조 용언 ‘보다’가 이어지는 경우 ‘-어’가 탈락한 것으로 보아 ‘재 보다’라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같은 예로 ‘매어 보다/매 보다’, ‘캐어 보다/캐 보다’ 등 두 가지 표현이 모두 올바른 표현이므로 적절하게 골라 사용하면 된다. <청주대 국어문화원 제공>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