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산업 마이너스 성장 불구 농림수산식품 선전…
정확한 성과평가 후 유발효과 큰 산업 육성 바람직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정부가 경기불황의 타개책으로 산업구조 변화를 화두로 꺼낸 가운데 충북도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조업 이외에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청년일자리 창출을 적극 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충북연구원이 한국은행의 2005∼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분석해 발표한 충북산업구조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총 산출액은 112조3458억원으로 2005년에 비해 0.2%P 증가했지만 전국대비 3.1%로 3%대 경제규모에선 벗어나지 못했다.

충북의 경우 최근 10년 새 제조업의 산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특히 광업제조업은 9.6%P 증가한 64.1%로 조사됐다.

반면에 농림어업은 1.4%P 감소한 2.8%, 전력건설업은 1.4%P 줄어든 7.4%, 서비스 및 기타 업종은 무려 6.9%P나 줄어든 25.7%로 파악됐다.

생산유발계수는 운송장비가 2.496으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음식료품 2.398, 석탄 및 석유제품(2.232), 기계 및 장비 2.266 순이었다. 충북의 평균 생산유발계수는 전국평균(1.895)을 웃도는 1.939로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 중 8위를 차지했다.

부가가치유발계수는 부동산 및 임대사업이 0.912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공공행정 및 국방 0.908, 사업지원서비스 0.896, 교육서비스 0.881 순으로 집계됐다. 취업유발계수는 아직도 농림수산식품이 40.5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문화 및 기타서비스 31.7, 사업지원서비스 31.3으로 조사돼 문화관광 서비스 분야 활성화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떠올랐다.

충북의 평균 부가가치유발계수(0.700)와 취업유발계수(12.6)는 16개 시·도 중 각각 9위를 차지했다. 특히 충북의 취업유발계수는 전국평균(13.2)을 밑돌았다.

지역 간 교역구조를 살펴본 결과 수도권 이출 비중이 48.1%로 여전히 높고, 수도권을 제외하면 대경권(대구경북권)의 이출 비중이 12.7%로 다음으로 많았다.

수도권의 이입 비중도 50.7%로 가장 컸고 수도권을 제외하면 강원에서의 이입 비중이 0.4% 증가한 2.1%로 가장 많았다.

이 같은 분석은 충북에서 생산된 것들이 지역 내에서 활용되기보다 타 지역에서 활용되는 것이 크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 수도권 의존도가 높아 외부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의 경제활성화를 위해선 제조업 이외에 서비스산업 육성도 필요하며, 전국적인 수요가 생겼을 때 충북이 기여할 수 있는 부문도 미리 준비돼야 할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지역전통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나 고용유발효과가 전략산업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전략산업위주의 산업정책보다 지역 산업전반에 대한 균형있는 정책을 지원하는 것이 지역 성장과 소득증대에 더 나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충북의 전략산업인 유기농(-3.8)과 화장품·뷰티(-0.8), 동력기반기계부품(-2), 반도체 및 전기전자부품(-1.1), 바이오 의료기기(-1.3), 항공MRO(-0.4), 태양광(-2) 등의 업종에서 취업유발계수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ICT융합) 분야에서 0.8% 성장, 체면치레를 한 정도다.

충북연구원 한 관계자는 “현재 지역 전략산업에 대한 정확한 성과평가를 통해 유발효과가 큰 산업의 육성 및 관련 기업 유치가 고용창출에 더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경철수>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