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래수(편집국 부장/내포지역 담당)

▲ 정래수(편집국 부장/내포지역 담당)

‘충남 자금’의 역외유출이 심각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충남 경제는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부품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여 왔지만, 지역 소득 증가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해 생산 대비 소득 수준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상황이다.

이는 충남지역에서 창출된 부가가치 중 일부가 지역경제에 재투자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기 때문이다. 충남의 주요 산업은 2차 제조업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전통적인 2차 산업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한계에 봉착하고 있으므로 신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 충남 발전의 숙제가 된지 오래다.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2014년 현재 충남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03조7000억원으로 경기(329조원)와 서울(328조원)에 이어 3위로 집계됐다. 그러나 같은 기간 지역총소득은 77조2000억원으로 서울, 경기, 경남, 부산에 이어 전국 5위에 그쳤다. 이에 따라 총생산에서 총소득을 제외한 소득의 역외유출 규모는 25조6000억원으로 전국 최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의 역외유출 심화 현상은 ‘본사 수도권, 지점 충남’이라는 구조에서 비롯되고 있다. 충남지역에서 벌어들인 돈이 충남에 머물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기회가 전혀 없어지는 것이다. 충남에서 경제활동을 도울 수 있는 자금이 없어지는 것이다. 충남 경제를 ‘침체의 늪’에 허덕이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다. 지방 중소기업의 돈 가뭄 현상은 이러한 소득 역외유출과 무관하지 않다.

이처럼 지역 소득의 역외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기업의 본사 유치와 정주 여건 개선 등 소득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기업유치를 양적 개념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향토기업을 육성 할 수 있도록 금융, 세제 지원도 필요하다. 이는 정부, 충남도가 풀어야 할 숙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