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간 기싸움에 밥그릇 싸움까지 얹어 20대 국회가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기시감(旣視感·dejavu)이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협치’와 ‘일하는 국회’를 화두로 내세워 이젠 뭐 좀 되려나 싶은 기대감만 잔뜩 심어주더니만, 제 버릇 남 못 준다고 국회 개원 때마다 아웅다웅 싸움질만 벌였던 예전의 볼썽사나운 모습을 ‘역시나’ 재현하고 있다.
원 구성 법정시한인 7일을 넘기고도 여야간 양보와 타협은 눈을 씻고 봐도 찾을 길이 없다. ‘위법’의 불명예를 안고 출발하게 되는 20대 국회인데도 너나없이 ‘내 탓’ 대신 ‘네 탓’을 외친다.
여야 3당은 원 구성 법정 시한을 하루 앞둔 6일 협상을 재개했다. 그러나 국회의장단 선출과 상임위원장 배분을 둘러싼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 이런 까닭으로 국회 임기 개시 7일 이내에 첫 본회의를 열어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도록 규정한 국회법은 이번에도 지켜지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7일 오전에도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지만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정치가 무엇인가에 대해 정치인들이 다시 한 번 꼼꼼히 되짚어봐야 할 대목이다. 정치는 타협이다. 타협을 이루기 위해선 역지사지가 선행돼야 한다. 상대편 입장을 헤아려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아야 하는 것이 협치다. 그 협치 위에 일하는 국회도 성립되는 것이다.
이번에도 협상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1994년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단 선출 시한’을 못박은 이래 22년 동안 단 한 차례도 이 법을 준수하지 못하는 꼴이 되고 만다.
당장 원 구성이 되지 못하면 국회는 헌법상 기본 책무인 ‘입법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법안 제·개정에 대한 소관 상임위의 심사 의결이 이루어질 수 없는데다, 자구 심의를 맡을 법제사법위원회도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기야 의사봉을 잡을 국회의장마저 없으니 국회는 ‘올 스톱’ 상태라 할 수 있다.
국회가 다루어야 할 굵직한 현안들은 태산처럼 쌓여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진상규명, 전경련의 어버이연합에 대한 지원 의혹 진상규명, 정운호씨의 구명 로비 의혹으로 불거진 법조계 비리 규명, 경찰 물대포에 맞고 의식 불명된 백남기씨 사건 등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또 국정 현안으로 떠오른  거대 해운사에 대한 구조조정, 경제 성장률 둔화에 따른 대책 마련, 미국 사드의 한국 배치 문제, 미세먼지 종합대책 등 정부가 국회에 보고해야 할 시급한 문제들도 잔뜩 엉켜 있다. 이런 것들은 기본적으로 상임위가 구성돼야만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국민들은 20대 국회를 ‘협치’가 아니고선 일을 꾸려나가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어느 정당도 과반을 넘기지 못한 20대 국회는 그래서 ‘정치적 타협’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된 것이다. 그것이 국민의 명령이었다.
‘네 탓’을 하기 전에 ‘내 탓’을 해야 한다. 취할 것을 셈하기 전에 줄 것부터 정해야 한다. 원내 2당으로 전락한 새누리당은 과거와 다른 자신의 모습을 직시해야 한다. 더민주와 국민의당도 수적 우위를 과신해선 안된다. 보따리를 풀고 초심으로 돌아가 머리를 맞대고 시급히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