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 대부분 지자체에서 출생자가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도내 11개 시·군 중 8곳이 최근 2~3년 사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자연감소’에다 가임 여성의 큰 폭 감소로 ‘인구절벽’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충북 수부도시인 청주의 신생아 수가 사망자보다 배나 많아 도내 전체적으로는 출산 인구가 많지만 나머지 대부분 시·군에서는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된 지 오래다.
주민등록 기준 인구 증가 폭도 매년 줄고 있고 저출산뿐만 아니라 고령화도 심각해지는 상황이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대책이 절실한 상태다.
지난해 충북도내 신생아 수는 1만3775명이다. 청주가 8699명으로 가장 많고 충주 1447명, 제천 914명, 음성 769명, 진천 594명 등의 순이다.
반면 지난 한 해 숨진 사망자는 1만723명이다. 사망자가 신생아 수보다 많지 않아 충북은 ‘인구 자연감소’ 지역에 속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도내 11개 시·군 중 청주시와 증평군, 진천군을 제외한 8개 시·군은 이미 인구 자연감소 지역에 해당한다.
영동군은 신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367명이나 더 많고 괴산군은 352명, 보은군 285명, 옥천군 271명, 단양군 209명이 많다.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구 10만명 돌파를 바라보는 음성군 역시 인구 자연감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 지역에서도 사망자 수가 신생아보다 59명 더 많았다.
2014년에도 이런 현상은 마찬가지였다. 인구 자연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던 곳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청주와 증평, 진천이 전부였다.
65세 노인 비율도 매년 증가 추세여서 충북 역시 수년 내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절벽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노인 비율은 2010년 13.2%였으나 지난해 14.8%로 늘었다.
충북의 인구 증가 폭이 둔화되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2010년 2만2050명이나 증가했지만 2011년 1만3375명, 2012년 2725명, 2013년 7104명, 2014년 6201명, 2015년 519명으로 증가 폭이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인구 감소를 막으려면 출산율을 높여야 하지만 사회 분위기상 쉬운 일이 아니다.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고 고용 불안에 육아 문제, 주택난까지 겹치면서 결혼 기피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 만혼을 하거나 심지어 결혼을 해도 자녀를 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저출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둔화, 소비 위축, 투자 감소, 고용 악화라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 추세가 지속되면 충북 역시 인구 자연 감소로 돌아서고 생산 가능 인구 비율이 급속히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수년 내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로서는 이를 극복할 뾰족한 대책이 없다.
충북도와 각 지자체는 그동안 인구 유입과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출산장려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지만 큰 성과는 보지 못했다.
따라서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귀농정책, 문화·교육·서비스시설 확충 등 인구 유입을 가져올 종합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이 같은 정책 추진은 충북도와 해당 지자체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지원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