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가 최근 2030년까지 인구 33만명을 달성하는 도시 규모를 갖추기 위한 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해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에 마련된 도시기본계획안은 지난 2008년 세운 뒤 2011년부터 재정비에 들어간 기본계획을 5년 주기로 바꾸는 차원에서 지난해부터 추진돼 왔다.
충주지역은 그동안 도시 규모와 발전 방향이 해를 거듭하며 크게 변화돼 온 게 사실이다.
충주비료공장이 지역의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던 것이 엊그제 같고, 충주댐 건설로 인한 도시 개발 측면에서의 변화 또한 지역에 많은 과제를 안겨주기도 했다.
비록 촌각을 다투는 시간은 아니었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지나오며 충주를 바라보는 시선은 2000년대에 들어서며 이미 많은 변화가 예견돼 있었다.
하지만 충주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사람과 외지 이주민들이 적절히 뒤섞여 있는 지역사회는 이질감을 확연히 느낄 정도여서 지역발전을 위한 역량 모으기는 아직 요원한 상태다.
이 같은 현상은 충주지역에서 최근 10여년 간 반복된 선거라는 특수한 사정이 배경에 깔려 있다.
잦은 선거로 인해 쪼개진 지역사회 여론과 민심은 어느 누구도 수습할 수 없는 경지까지 다다랐다고 한다.
사분오열된 민심과 여론을 정리하고 수습이 가능한 지역 원로가 없다는 부재론에 이어 편 가르기에 목메는 패거리 문화는 지역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오랜 기간 지속돼 왔다.
최근 들어 충주 지역사회는 이 같은 답습을 버리는 과감한 시도가 잦아지고 정치적 환경도 매우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이곳저곳에서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모델이 각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민·관 협치를 우선으로 하는 행정절차가 눈에 띠고 있다.
이 같은 모양새는 지역발전의 성장 동력을 얻기 위한 절호의 기회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계획을 세우고 지역발전 축을 담당할 도시기본계획안은 시민들이 지켜볼 일을 넘어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기라는 게 중론이다.
서충주 신도시 건설과 동서고속도로 개통, 중부내륙선 철도와 충청내륙화고속도로 건설, 고령화 사회 진입 등 지역사회 환경이 시시각각 바뀌고 있는 상황이 현재 벌어지고 있다.
시가 마련한 기본계획안은 중부내륙 핵심도시로 나가기 위한 첫 번째 주춧돌이라고 한다.
이번 기본계획안은 아직까지 지침적 성격이며 정책 입안의 초기 단계라고는 하지만 장기적 안목에서 지역발전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시민들이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시민 참여가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기로. 도시 발전의 장기 구상이라는 점에서 시민들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때이다.
도시개발 규모와 거주하기 편한 측면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환경은 인구 30만명이 기준이라고 일부 사회학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거주인구가 30만명이 넘어가면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이 남 일에 관심이 없어진다고 한다.
가장 나쁜 병폐인 ‘남 말하기’가 없어져야만 시민 의견이 결집되고 지역발전을 위한 민심이 한군데로 모아지게 된다.
구태를 벗어나 살기 좋은 도시로 변모해 인구 30만 중부내륙 핵심도시로 뻗어 나가는 충주가 하루 빨리 조성되길 기대해 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