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가 절대절명의 위기에 처했다. 3년연속 정부지정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포함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청주대는 지난 26일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 제한대학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부실대학을 의미하는 정부의 재정지원 제한대학 지정으로 2015년부터 국가장학금 지원과 학자금 대출 등에서 불이익을 받아 왔던 청주대는 이번에 또다시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확정되면 3년연속 불명예를 안게 된다.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김병기 총장과 교무위원 15명 전원이 일괄 사퇴, 청주대 사태는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할 정도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 들었다.
재정지원 제한대학은 장학금과 등록금 대출 등에서 제한을 받아 학생들의 기피대학으로 전락, 학교존폐를 걱정할만큼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청주대는 일단 이의신청을 통해 불명예를 탈출할 계획이지만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는 게 학교 안팎의 분석이다.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사학으로 자부해 온 청주대가 ‘부실대’ 오명을 뒤집어 쓸 위기에 놓이자 학내 구성원들은 물론 시민들 조차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청주대가 이렇게까지 된데는 교수와 학생들의 반발을 의식해 교육부의 구조개혁 요구에 안일하게 대응해 온 결과다.
교육부는 지난해 평가에서 D등급 이하를 받은 대학을 대상으로 구조개혁 컨설팅을 하고 그 이행 결과에 따라 재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도내 5개 대학중 건국대글로컬캠퍼스는 재정지원 제한대학에서 완전히 벗어났고 충북도립대, 꽃동네대, 영동대는 부분적으로 제한이 해제됐다.
반면 청주대만 유일하게 최하 그룹에 속해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낙인찍힐 처지에 놓였다.
교육부는 부실대학의 구조개혁 방안으로 과감한 학과 통·폐합과 축소·폐지되는 학과에 대한 보호대책을 통해 학생의 학습권 보호(전공선택 보장 및 교육과정 유지), 교원신분 보장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하지만 청주대는 사회학과 폐지를 추진했다가 교수회, 동문회, 학생들의 반발에 부딪쳐 무산되자 학과 통·폐합 계획을 접었다. 대신 일반 학과의 정원을 2~3명씩 일률적으로 줄이는 정원감축안을 제시했으나 교육부의 방침과 동떨어져 애초부터 기대난망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너무 안이하게 대처해 화를 자초한 것이다.
청주대의 이같은 사태는 교육부 평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대학측의 책임이 크다. 여기에 2년여동안 학내갈등을 유발시켜 구조개혁의 걸림돌이 된 교수회, 총동문회 등 구성원들의 책임 또한 피할 수 없다.
청주대는 내년 4월에 있을 2주기 평가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있다. 그러나 1주기(2014~2016년)에 이어 2주기(2017~2019년)에도 낙제점을 받는다면 회복불능상태에 빠진다. 결국 2주기 평가전까지 교육부가 요구하는 학과개편, 정원조정 계획 등 과감한 구조개혁 없이는 부실대학에서 헤어나올 수 없다.
청주대가 살아 남는 길은 학내 구성원 모두가 갈등을 접고 합심해 뼈를 깎는 구조개혁에 동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