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가 갈수록 벌어지면서 심화된 양극화 현상이 우리사회의 갈등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이하 중소규모 업체와 300인 이상 대규모 업체 노동자의 월 임금격차는 250만원 이상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240만7000원으로 대기업 493만9000원의 48.7% 수준에 불과했다.
중소기업-대기업 종사자 임금격차는 꾸준히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 종사자 임금 대비 중소기업 종사자 임금은 2009년 56%에서 2015년 48.7%로 금융위기를 겪으며 7.3%포인트 떨어졌다. 금융위기 이후 대기업 종사자의 정액급여는 연평균 5.3% 오른 반면 중소기업은 3.2% 올라 임금격차가 벌어졌다.
이는 지난 7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2015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분석’ 결과 대기업 정규직 평균 연봉은 6544만원, 중소기업은 3363만원으로 대기업의 절반(51%)에 불과한데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는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지만 문제는 그 격차가 더 커지는데 있다.
보고서는 대규모 사업체 임금 노동자의 교육수준이 높고 근속기간이 긴 것이 임금격차를 벌리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또 대규모-중소규모 사업체 종사자의 임금격차가 우리 사회 양극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렇듯 임금격차가 크다 보니 청년들이 대기업만 선호할 뿐 중소기업을 외면하는 증상이 ‘중증’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중소기업 하기 어렵다던 IMF 이전 중소기업의 임금이 대기업의 80%정도 였던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임금격차가 얼마나 심각한지 말해준다.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소득 양극화 현상은 막을 수 없다. 그러나 심화된 양극화가 지속되면 소득감소로 중산층이 사라지고 이는 구매력 급감으로 인한 내수부진, 장기 경기위축으로 이어지게 된다.
중소기업들은 청년들 기피 속에 일손구하기에 애를 먹고 있다. 우리 주위에 노는 청년들이 수두룩하지만 정작 중소기업들은 구인난에 허덕이는 모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자리는 외국인 노동자 몫이 되고 있어 이들마저 없으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다.
오죽하면 중소기업계가 대기업 편향적이고 영세기업의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경제정책을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위주의 정책으로 바꾸고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대기업 근로자의 임금을 5년간 동결하라고 촉구했겠나.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위를 내려 하향평균으로 갈 수 없는 게 자본주의 현실이다. 그렇다고 갈수록 벌어지는 격차를 두고 볼 수만은 없다. 소득 양극화에 따른 사회갈등과 불안은 자칫 사회 근간을 흔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90% 이상, 근로자는 88% 가량이 중소기업에서 일한다. 이들을 위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말고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경제정책이 요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경제를 몇 안되는 대기업에 의존할 수는 없지 않은가.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