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토종벌 농가들이 원인을 모르는 질병으로 기르던 토종벌이 집단 폐사해 벌통을 모아놓고 불태워버리는 화형식을 가졌다.
단단히 화가 난 토종벌 농가들은 치료법을 알 수 없는 질병이 만연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정부가 아무런 대책 마련을 해주지 않아 항의 모임을 갖고 벌통을 불태웠다.
토종벌이 집단으로 폐사하는 원인은 ‘낭충봉아부패병’으로 농가들은 지목하고 있다.
이름도 생소한 ‘낭충봉아부패병’으로 국내 토종벌 가운데 98%가 패사했다고 하니 농가 입장에서는 생존권과 직결되는 무서운 존재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난 2008년 처음 발생해 2년 뒤부터  ‘낭충봉아부패병’이 전국을 휩쓸고 있지만, 병명은 물론 원인을 알 수 없는 괴질이라고 하니 그 파급력은 나름 짐작이 갈 만하다.
정부에서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뚜렷한 해법이나 예방책이 없는 상황으로, 국내 토종벌이 계속 죽는다고 하니 국내 양봉산업에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충북도내는 토종벌 종(種) 보존의 메카로 알려져 있지만, 듣고 보도 못한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존립기반 자체가 무너지고 국내 한봉산업이 사리질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011년부터 토종벌에 대한 각종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낭충봉아부패병’ 발생이후 6년간 이렇다 할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하니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일 게다.
토종벌 농가들은 정부가 토종벌 보존을 위해 예산을 투입해 각종 사업을 벌였지만, 꿀벌이 죽는 원인을 못 찾은 것은 감염원 차단 방역대책 실패를 꼽았다.
바이러스 주감염원으로 감염된 애벌레가 죽은 뒤 일하는 벌들에 의해 버려진 후 해당 애벌레에 의한 감염과 확대 재생산, 재감염 구조는 관찰에 의한 방식으로 밝혀냈다고 한다.
그러나 정부 몫인 반복되는 순환 고리를 끊어내는 방역대책은 아직까지 미봉책이라고 하니 토종벌 농가 입장에서는 한심할 따름이다.
토종벌 농가들은 가축전염병 등록 제도도 이번 기회에 손봐야할 대상으로 꼽았다.
정부 관련부처에서 ‘낭충봉아부패병’ 예방 치료와 방역 수칙으로 ‘감염된 애벌레 한 마리가 다 큰 성봉 10만 마리를 감염시킬 수 있다’는 감염 위력을 경고하고 있다.
하지만 가축법정전염병 단계는 2종으로 등록돼 살처분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현행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 유일한 대책은 감염된 벌통의 이동제한 뿐이라고 하니 토종벌 농가들은 답답할 노릇이다.
법적으로 벌통 이동을 막는다고는 하지만, 날아다니는 꿀벌은 어떻게 막느냐가 토종벌 농가와 정부의 고민거리라고 한다.
이런 이유로 빠른 시일내에 법 규정을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낭충봉아부패병’에 감염된 애벌레를 청소하는 벌들이 옮겨버려 순식간에 반경 6km 주변을 감염시켜 초토화시켜 버린다고 하니 그 위력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뒤 멸망한다’고 예언했다고 한다.
벌은 나비와 더불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전령사 역할을 하지만, 우리가 먹는 과일과 작물의 생육을 위한 역할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매개곤충으로서 벌의 역할은 전 세계 식량 생산에 매우 큰 역할을 해낸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정도다.
더 늦기 전에 토종벌 보호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관련법 개정을 비롯해 방역과 감염예방에 대한 해법을 내놔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