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항공수요 감안 추가지정도 가능 …
한화테크윈-보잉사-롤스로이스 참여 설득
스타항공우주 등 8개 투자 협약사 중심의

저비용 항공 정비 및 부품생산기지 전략화

모든 경우의 수 감안 새로운 계획 세워야

▣청주MRO 출구전략-대안 모색<하>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청주공항 항공정비단지(MRO) 조성사업은 정부지원 사업으로 정부의 의지 없이는 불가능하다.

정부 항공산업육성계획의 시작은 국방예산이 전체의 25%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무기수입국에서 무기수출국으로 전환하자는 항공우주산업시대를 대비한 방위산업 양산에서 출발했다.

2010년 2월 이명박 대통령이 청주공항을 방문해 MRO사업 적극 지원을 약속한 것도 인근 전투비행장과 연계한 군수와 민수를 다 아우를 수 있는 최적지였기 때문이다.

MRO가 ‘꿈의 산업’이라 불리는 이유는 연간 1조3000억원에 이르는 해외의존 항공정비수요를 국내로 전환하고 중국 등 해외 정비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어서다.

동북아 MRO 시장규모는 2013년 9조6000억원에서 연평균 5.4%씩 성장해 2022년이면 1.5배에 달하는 14조200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MRO산업은 전기·전자 등과 결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일자리창출 산업으로 항공안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반드시 정부차원에서 육성해야 하는 산업이다.

정부가 하루빨리 MRO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민항기의 단계적 국산화 및 수출기반을 구축하는 등 항공제작·정비산업의 동반발전을 이끌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전문가들은 MRO산업이 안착할 경우 세계 6위와 9위인 민항기 및 군용기 운용국의 이점을 활용해 우리나라를 동북아 항공부품 물류 허브기지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런 연유로 정부는 군수 중심의 KAI-경남 사천MRO 컨소시엄 지원 이외에도 민수 중심의 청주공항 MRO단지 조성을 추가로 지원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일각에선 2010년 청주공항 MRO 조성계획 때처럼 민수 중심의 대한항공과 군수 중심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록히드 마틴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구성을 재추진하는 것도 출구전략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비록 KAI가 변심해 사업대상지를 경남 사천으로 선회했지만 사천에는 군수중심의 MRO단지 조성부지 이외에 민수 분야를 추진할 마땅한 부지가 없다는 시각에서다.

또 다른 대안은 충북을 연고로 하는 한화테크윈을 중심으로 삼성과 현대 등 대기업이 참여하고 영국 롤스로이스, 미국 보잉사 등 외국계 회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다.

끝으로 이미 충북도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스타항공우주 등 8개 항공관련 회사들과 청주공항을 저비용(LCC) 항공사 중심의 정비 및 부품생산기지로 특화시켜 개발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런 대안을 현실화 하는 데는 충북도와 충북경자청 힘만으론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 지원사업인 만큼 정부가 적극 나서줘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는 청주공항을 MRO 단독시범단지로 이미 지정해 놓고서 일관성 없게 지난해 1월 민간주도의 사업추진을 빌미로 공모에 들어가는 등 혼란을 주기도 했다.

이에 정부가 민간주도의 MRO 조성계획을 발표만 할 것이 아니라 순항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추진에 담보를 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충북경자청 관계자는 “변심한 KAI를 재 설득하는 방안은 현재로써 검토대상이 아니다”며 “청주에어로폴리스지구가 국가지정 항공복합산단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끝>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