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지진 여파의 불똥이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대한 분노로 옮겨가고 있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추석을 앞둔 지난 12일 경주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는 5.1과 5.8규모로 규모 면에서 큰 강진(强震)이라고 한다.
추석을 지나자마자 발생한 지진 강도는 4.5규모라고 하지만, 첫 지진 발생 이후 수백여 건의 여진 발생 소식은 미숙한 대응까지 거론되며 국민들은 무능한 정부에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공포의 도가니로 내몰기에 충분한 이번 경주 지진은 건국 이래 최대 강도라고 한다.
특히 해당지역 피해주민들은 물론 국보급 문화재에 대한 피해는 규모와 복구 문제의 경우 지속적인 여진 발생으로 정확히 따질 여유가 없다고 한다.
이번 지진 발생 여파로 우리나라가 결코 축복받은 땅이 아니라는 게 명확히 입증되고 천재지변치곤 국민들이 받아들이기에 너무 충격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번 지진 발생과정에서 보여준 정부 측 대응방식은 온 국민이 분노를 느끼기에 충분할 정도라고 하니 국민 모두가 무기력증에 빠질 것이라는 예단도 헛말이 아닌 듯싶다.
지진관련 분야를 맡고 있는 국민안전처는 재난대응 문자 늑장 발송과 멱통이 된 홈페이지 등으로 온 국민으로부터 따가운 시선과 비난을 동시에 받고 있다.
각 지자체의 지진대응 안내 부족 등의 문제점도 거대한 비난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한마디로 국민안전처와 공공기관, 지자체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줘야 할 이들 ‘3종 세트’가 이번 지진이 발생한 시점부터 무기력하다는 민낯을 낱낱이 드러내 보이는 것 같아 씁쓸하기 짝이 없다.
현재까지 정부와 공공기관, 지자체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줘야 하는 기관에서 내놓은 각종 대책을 살펴보면 ‘사후약방문’식이라는 지적이 공통된 의견이다.
오죽했으면 지진에 대비해 일본에서까지 들여온 비상배낭이나 지진키트를 구매한다는 언론보도가 나올 정도라니 정부의 위기대응 방식과 관리적 측면은 ‘빵점’에 가깝다는 평가다.
정부와 공공기관, 지자체 등은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재난 메뉴얼을 재정비하고 훈련을 강화해 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가 퇴색돼 버리는 ‘우(愚)’를 범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평상 시 재난대응훈련과 보완된 매뉴얼을 늘 숙지하고 사전준비에 철저를 기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고 있다.
늑장대응과 미숙한 재난대응이라는 지적도 문제지만 현대과학으로 지진은 미리 예측할 수 없다고 하니 인간의 마음을 알 수 없는 의미로 사용되는 ‘한 치 사람 속’에 ‘땅 속’도 넣어야 될듯하다.
현재 재난 메뉴얼은 기본적인 지침일 뿐이라지만,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재난에 미흡하고 각 부처 간 연계성도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대다수다.
이에 따라 이번 경주 지진을 겪으며 전 국민 대처 방법과 재난안전에 대비하는 매뉴얼 구축 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재난 메뉴얼은 준비돼 있지만 재난 발생 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면 정부는 차제에 이 문제에 대한 대폭적인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협력체계도 중요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중앙부처와 재난관련 공공기관, 지자체 등 국민안전을 책임지는 3개 축(軸)은 부처 이기주의와 관행과 관습을 떠나 당연히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임무가 주어져 있다.
그렇다고 하면 이번 경주 지진 발생을 계기로 더 이상 국민들이 불안에 떨지 않도록 미리미리 재난안전에 대한 중요성 홍보와 사전 대비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이다.
국민안전처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비난 목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 배전(倍前)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