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이 KTX 세종역 신설 여부를 두고 들끓고 있다. KTX 세종역 신설 논란이 촉발된 것은 지난 20대 총선에서 이해찬 의원이 이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부터다. 이 의원은 실질적인 행정수도 접근성 강화로 행정 비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세종 신도시와 대전 유성·대덕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며 세종 산학연 클러스터∼대덕 R&D연구개발단지의 집적화를 위해 세종 신도시 남쪽 금남면에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더 나아가 이 의원은 이춘희 세종시장과 지난 8월 국토부에 철도시설공단으로 하여금 ‘KTX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을 발주하게 했다.
충남·북은 당연히 발끈했다. 국토 균형발전에도 저해될 뿐 아니라 충청권 지역에 엄청난 혼란과 갈등만을 초래할 뿐이라는 것이다. 지방분권 충북본부는 지난 17일 국토부를 항의 방문해 “정부는 KTX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을 즉각 중단하고 세종시 건설 목적과 계획의 일관성을 유지하라”고 촉구했다.
KTX 세종역 신설 여부를 두고 충청권이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은 그에따른 지역 경제의 파급력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오송역의 위상은 하루아침에 급전직하로 떨어지고 대신 세종역이 그 위치를 점할 것이라는 우려가 깔려 있는 것이다.
애초 계획에도 없었던 KTX 세종역 신설 여부를 두고 이 의원의 요구를 받아들인 국토부의 경솔함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국토의 개발이란 것이 동네 수준의 사업이 아니고서야 원칙도 없이 이리저리 변경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도종환 의원은 “KTX 세종역은 2011∼2020년까지의 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세종역 논란이 있을 때 분명하게 검토된 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도 국토부는 한술 더 떠 지역 갈등을 초래하고 있는 세종역 신설 타당성 조사 용역 중단을 거부하고 있다.
누가 봐도 세종역 신설은 ‘옥상옥’일 수밖에 없다. KTX 노선과 역사를 신설하는 데에는 수천억원의 국비가 투입될 수밖에 없다.
그런 천문학적 재원이 투입될 지도 모르는 세종역이 오송역으로부터 15㎞, 공주역으로부터 20㎞ 이내에 있다면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싶다. 시속 300㎞로 달리는 고속철도가 20㎞ 가다 서고, 또 15㎞ 가다 선다면 그것이 무슨 고속철도인가. 완행열차도 이보다 낫다 싶다.
이 의원은 세종역이 오송역과 같은 허브역이 아닌 승강장 수준의 간이역으로 단순히 정부청사 공직자들의 교통 편의와 세종시 남부 지역민들을 위한 시설이라고 강변한다.
그것을 누가 믿을 수 있나.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다. 고속철도는 단순한 시간 단축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고속철 역은 교통의 거점, 문화의 거점으로서의 역할과 정보와 교류의 허브 역할을 맡는다. 그 의미와 역할 훼손시키려 해서는 안된다.
충청권의 때아닌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되지도 않는 말장난부터 버려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