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최근 잇따라 불거진 각종 현안 해결 차원에서 정무특별보좌관(정무특보) 기용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도됐다.
충북도는 1995년 민선과 함께 정무부지사를 임용, 행정부지사와 함께 도정을 뒷받침하도록 했다. 국회, 정당, 지방의회, 언론, 시민단체 등과 화합 및 협력을 도모하면서 도지사의 정무기능을 보좌하는 역할을 준 것이다.
그러던 것이 경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2012년 11월 정무부지사를 경제부지사로 이름을 바꿔 공개모집한 후 2014년 7월 다시 정무부지사로 환원시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무부지사가 경제부지사로 바뀌면서 정무기능이 약해졌다고 판단한 충북도는 2013년 2월 김진식(68) 전 충북도농정국장을 정무특보로 임용(임기 2년)했다.
그러나 김 정무특보가 중원대 건축비리 사건과 관련해 지난해 12월10일 직권면직 처분되면서 정무특보자리는 10개월여동안 공석이 됐다.
충북도청 안팎에서는 이를 계기로 정무특보 직제가 없어지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 들였다.
하지만 최근들어 충북도 역점사업이 좌초, 또는 실패했다는 비판에 직면하자 국면 타개를 위해 다시 정무특보 기용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충북도는 청주 항공정비(MRO)산업 유치 실패와 청주무예마스터십대회 실패 논란까지 겹치면서 ‘이시종호’가 출범후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8월 MRO단지 유치실패이후 충북도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은 MRO산업 점검특위를 구성해 충북도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의원들은 점검 특위 구성 및 특위 위원 선임 과정에서 김양희(새누리당) 의장이 법령을 어겼다며 세차례나 의장 불신임안을 제출, 맞불을 댕기고 있다.
또 지난 9월초 청주에서 열린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대회에 대한 도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것도 충북도로서는 두고두고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 KTX세종역 신설 저지와 관련해서는 여·야 할 것 없이 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각론으로 들어가면 접근법이 달라 충북도는 이래저래 골머리를 앓고 있다.
따라서 이 지사를 압박하는 이들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새누리당이나 시민사회단체, 언론의 협력을 이끌어 낼 ‘막후조정자’가 필요하다고 본 것 같다. 그 역할을 지난해 말 이후 공석이 된 정무특보 부활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한다면서 자리만 만드는 게 과연 능사인지 따져봐야 한다. 충북도가 3년전 정무특보제를 도입, 시행한 결과 얼마나 효과를 봤는지 돌아봐야 하고, 또 충북도청에 사람이 없어서 현안을 해결하지 못하는 건지도 되짚어봐야 한다.
과거 정무특보가 없던 시절에도 도정은 굴러갔다. 국장급 이상 고위 공무원에게 명실상부한 권한과 책임을 주고 업무를 맡겨 보라. 인건비를 추가 부담하면서까지 옥상옥(屋上屋)이 될 정무특보를 임명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본다. 정무특보제가 실업자 구제 자리로 전락해서도 안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